학술논문
중고제 판소리와 박동진 명창의 판소리
이용수 14
- 영문명
- Joong-goje Pansori and Park Dong-jin’s Pansori
- 발행기관
- 판소리학회
- 저자명
- 김석배
- 간행물 정보
- 『판소리연구』제49집, 47~80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4.30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현재 중고제 판소리는 거의 소멸 상태에 있는데, 그동안 박동진 명창에 의해 그 명맥이 겨우 이어져 왔다. 본고에서는 충청도의 중고제 판소리를 살피고, 그리고 박동진의 심청가와 적벽가의 중고제로서의 면모를 살펴보았다. 이상에서 논의한 바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충청도는 중고제 판소리의 중요한 기반으로, 일찍부터 명창들이 다수 등장하여 판소리 창단을 풍요롭게 했다. 특히 내포 지방의 방만춘 가문과 심정순 가문, 그리고 금강 유역의 김성옥 가문, 황해천 가문, 김석창 가문, 백점택 가문 등이 판소리 발전에 크게 이바지하였다. 둘째, 박동진 명창은 중고제 김창진에게 심청가를 배웠다. 박동진의 심청가는 고제 또는 중고제인 허흥식 소장본 심청가와 중고제인 심정순의 심청가와 친연성이 상당히 크다. 또한 박동진의 심청가에는 여러 곳에서 중고제 심청가의 모습으로 짐작되는 독자적인 면모를 보이고 있다. 셋째, 박동진 명창은 조학진에게 적벽가를 배웠다. 박동진의 적벽가에는 서두 부분을 비롯하여 박망파 전투, 장판교 대전, 제갈공명이 화살 10만 개를 얻는 대목, 주창이 호통치는 대목 등에서 독자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 대목들은 중고제 적벽가의 면모를 잘 드러내고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영문 초록
At present Joonggoje pansori is in the state of extinction, and Pansori Master Park Dong jin maintained its slender existence in the mean time. This paper explores Joonggoje pansori in Chungcheong region, and Park Dong jin’s Joonggoje Shimcheongga and Jeokbyeokga.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Joonggoje pansori developed in Chungcheong region, and some pansori masters appeared there, and pansori was in bloom. Especially, Bang Man choon family in Naepo Area, Shim Jeong soon family, Kim Seong ok family near the Geumgang River, Hwang Hae cheon family, Kim Seok-chang family, Baek Jeom taek family, etc. contributed greatly to the development of pansori. Second, Park Dong jin learned Shimcheongga from Joonggoje Kim Chang jin. Park Dong jin’s Shimcheong ga has a close correlation to Shimcheongga that Goje or Joonggoje Huh Heung sik owns and Joong goje Shim Jeong soon’s Shimcheongga. Park Dong jin’s Shimcheong ga has characteristics of Joonggoje Shimcheongga in many places. Third, Park Dong jin learned Jeokbyeokga from Jo Hak jin. Park Dong jin’s Jeokbyeokga are unique in the scenes of prologue, Bakmangpa battle, Jangpanggyo battle, Jaegalgongmyeong’s getting one hundred thousand arrows, and Joochang’s shouting in a voice of thunder. These scenes are regarded as showing the true aspects of Joonggoje Jeokbyeokga.
목차
1. 머리말
2. 충청도와 중고제 판소리
3. 중고제 심청가와 <박동진 심청가>
4. 중고제 적벽가와 <박동진 적벽가>
5.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고제 판소리와 박동진 명창의 판소리
- 『벽소시고(碧笑詩稿)』 소재 <옥중화가(獄中花歌)>의 특징 및 당대 판소리와의 관련성
- 동리정사 옛 모습 재현(2)과 판소리를 중심으로 한 풍류활동 고찰
- 송순섭 명창의 생애와 판소리 철학
- 근대초 전통공연물에서의 웃음
- 판소리 감상을 위한 박물관 콘텐츠 연구
- 뿌리깊은나무박물관 소장 필사본 <沈靑傳>의 이본론
- 서사 구조를 통해 본 <숙영낭자전> 판소리화의 의의
- 판소리 중고제 자료의 재검토
- <춘향가> 중 ‘기생점고’ 대목의 바디별 수용과 연행 양상
- 전북의 소리꾼 이기권 연구
- 박동실의 정치적 노선과 『열사가』의 거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