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생산함수 하의 FDI의 경제적 효과와 동태성에 관한 이론·실증적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The Economic Effect of Inward FDI under a Production Function and Its Dynamics
발행기관
국제지역학회
저자명
任炯錄 金成信
간행물 정보
『국제지역연구』제27권 제2호, 137~156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제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6.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FDI는 자원배분적 관점에서 국제 자원배분의 효율성을 높이는 한편 현지국 내 생산효과를 창출해 낸다. 특히나 국제 공급망이 개편 및 구축되는 와중에 FDI는 현지국으로의 외생적인 자본의 투입효과 뿐만 아니라 현지국 내 비즈니스 인프라를 개선시킨다. 또한 노동 생산성을 제고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이 점에 준해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논제를 중심으로 이론적 접근을 시도했다. 첫째, 콥-더글라스(Cobb-Douglas) 생산함수를 이용해 FDI가 비즈니스 인프라의 개선을 통해 발생시키는 생산성 효과를 모형화시켰다. 이를 통해 FDI로부터 현지국 내 경제효과가 발현되는 메카니즘을 구축했다. 본 연구의 이론모형은 자원배분적 관점 하에 중력모형 기반의 실증분석으로 현상을 설명하는 데에 집중하는 기존 연구들과는 달리 이론적 근거를 제시할 수 있는 차별점을 갖는다. 둘째, FDI는 단기적인 정태적 효과뿐만 아니라 장기적으로 동태적 효과가 발현될 수 있다는 시각이 필요하다. 이러한 시차를 두고 FDI는 누적되는 생산효과를 발현시켜 현지국의 경제발전을 유도해낸다. 이 가능성을 분석하고자 무한반복게임(infinitely repeated game)을 도입했다. 그 결과 동태적 관점에서 FDI가 증가할수록 현지국의 생산효과가 장기적인 정(正)의 효과로 발현되고, 비즈니스 인프라의 개선을 통한 노동 생산성의 개선 효과 역시도 발생하게 될 것임이 예측되었다. 이론모형의 예측결과를 검증하고자 실증분석을 시도했다. 그 결과 이론모형이 예측한 바와 같이 144개국에 달하는 현지국에 투입된 FDI는 현지국의 경제규모 확장에 유의적인 정(正)의 효과를 보이고 있다. 동시에 동태성 측면에서 중요한 시차효과 역시 유의적으로 나타났다. OECD 국가들과 비(非)OECD 국가들로 구분해 양자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존재하는 여부를 밝히고자 추가 검증이 시도되었다. 그 결과 양 그룹 모두에게서 시차효과가 발견되었다. 하지만 OECD 국가들에 비해 비(非)OECD 국가들에게서 FDI의 효과가 보다 단기적으로 발생하기 쉬운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양 집단을 대상으로 비즈니스 인프라가 경제성장에 상이한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확인한 결과 OECD 국가들이 비(非)OECD 국가들에 비해 비즈니스 인프라를 통한 경제적 효과가 더욱 크게 나타났다.

영문 초록

From the view of resource allocation, FDI can increase global production efficiency by distributing technologies, capital, and such invisible assets as know-hows and management skills. By this virtue, FDI is treated as a strategic pathway to obtain those necessary resources for economic development. In particular, FDI can create production effect for host countries, which contributes to their long-rum economic growth. At the meanwhile, the production effect, embedded within inward FDIs, can develop the business infrastructures of local countries, which can enhance their labor productivity ultimately. Acknowledging this feature, the paper tackles three research topics. First, a Cobb-Douglas production function is adapted for demonstrating FDI’s production effect in host countries along to labor productivity whose effect is incurred by business infrastructure enforcement. Second, revoking that FDI can have both a short-term static production effect and also a long-term dynamic one, an infinitely repeated game is established to analyze the sustainability of a FDI oriented production effect. According to main results, the larger the inward FDIs are, the larger the dynamic effects will be created throughout business infrastructure improvement, which supports, by the design of a game model, labor productivity. Third, some empirical works are attempted to test the predictions of the theory model. Most of all, FDIs have significant and positive effects on the economic performance of host countries, and both groups turn out to have significant and positive lag effects out of inward FDIs. Between the two groups, the OECD group benefits from business infrastructure enhancement more than the non-OECD group do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모형
Ⅲ. 실증 분석모형
Ⅳ. 실증분석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任炯錄,金成信. (2023).생산함수 하의 FDI의 경제적 효과와 동태성에 관한 이론·실증적 연구. 국제지역연구, 27 (2), 137-156

MLA

任炯錄,金成信. "생산함수 하의 FDI의 경제적 효과와 동태성에 관한 이론·실증적 연구." 국제지역연구, 27.2(2023): 137-15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