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의 대중남미 수출 변동 요인 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An analysis of the change factors of Korea’s exports to Latin America
- 발행기관
- 국제지역학회
- 저자명
- 金永錫
- 간행물 정보
- 『국제지역연구』제27권 제2호, 67~88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불변시장점유율(Constant Market Share: CMS) 모델과 현시비교우위(Revealed Comparative Advantage: RCA) 지수를 사용하여 한국의 대중남미 수출 변동 요인과 중남미 수입시장에서의 한국의 품목별 수출경쟁력 변동에 대해 분석했다. 2000년대 들어 급속한 증가세를 보이던 대중남미 수출이 2010년대 들어 하락세로 전환하였는데, 중남미 측 수요 감소 요인보다 한국 측 수출경쟁력 감소 요인의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밝혀졌다. 대중남미 수출 감소에 관한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0년대 들어서도 한국의 총수출은 증가세를 유지했으나, 아시아를 제외한 중남미, 중동, 아프리카 등 여타 개도국 경제권 지역에 대한 수출이 감소하는 등 한국의 지역별 수출집중도가 증가했다. 둘째, 대중남미 수출이 감소했으나, 국가별로는 미국 시장 우회 수출을 위한 생산기지인 멕시코에 대한 수출은 오히려 증가했고 한국과 FTA를 체결하고 있는 중남미 주요국(칠레, 페루, 콜롬비아)에 대한 수출은 감소하는 등 국가별 특성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다. 품목별로는 주력수출품목 대부분의 수출이 감소했으나 금속제품과 화학공업제품의 수출은 오히려 증가했다. 셋째, 불변시장점유율 분석결과, 2010년대 한국의 대중남미 수출 감소의 요인은 중남미 수입수요 감소가 34%, 수입구조 변화가 6% 그리고 한국의 수출경쟁력 하락이 60%의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시장비교우위 지수 분석 결과, 금속제품을 제외한 한국의 대중남미 주력 수출 품목들의 시장비교우위지수가 모두 하락하는 등 중남미시장에서의 한국의 수출경쟁력이 약화되었다.본 연구에서는 불변시장점유율(Constant Market Share: CMS) 모델과 현시비교우위(Revealed Comparative Advantage: RCA) 지수를 사용하여 한국의 대중남미 수출 변동 요인과 중남미 수입시장에서의 한국의 품목별 수출경쟁력 변동에 대해 분석했다. 2000년대 들어 급속한 증가세를 보이던 대중남미 수출이 2010년대 들어 하락세로 전환하였는데, 중남미 측 수요 감소 요인보다 한국 측 수출경쟁력 감소 요인의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밝혀졌다. 대중남미 수출 감소에 관한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0년대 들어서도 한국의 총수출은 증가세를 유지했으나, 아시아를 제외한 중남미, 중동, 아프리카 등 여타 개도국 경제권 지역에 대한 수출이 감소하는 등 한국의 지역별 수출집중도가 증가했다. 둘째, 대중남미 수출이 감소했으나, 국가별로는 미국 시장 우회 수출을 위한 생산기지인 멕시코에 대한 수출은 오히려 증가했고 한국과 FTA를 체결하고 있는 중남미 주요국(칠레, 페루, 콜롬비아)에 대한 수출은 감소하는 등 국가별 특성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다. 품목별로는 주력수출품목 대부분의 수출이 감소했으나 금속제품과 화학공업제품의 수출은 오히려 증가했다. 셋째, 불변시장점유율 분석결과, 2010년대 한국의 대중남미 수출 감소의 요인은 중남미 수입수요 감소가 34%, 수입구조 변화가 6% 그리고 한국의 수출경쟁력 하락이 60%의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시장비교우위 지수 분석 결과, 금속제품을 제외한 한국의 대중남미 주력 수출 품목들의 시장비교우위지수가 모두 하락하는 등 중남미시장에서의 한국의 수출경쟁력이 약화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hange factors of Korea's exports to Latin America using the Constant Market Share (CMS) model and the Revealed Comparative Advantage (RCA) index.. In particular, this study examines why Korea's exports to Latin America declined while Korea's total exports continued to increase in the 2010s. This study revealed that Korea's export competitiveness factor was more influential than Latin America's demand factor.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despite the increase in Korea's total exports in the 2010s, exports to all the other developing economies except Asia decreased, increasing Korea's export concentration by region. Second, there was a difference in export performance by country and product. While Korea's exports to Latin America have been decreasing, exports to Mexico, which play a role as export bases for the U.S. market, have been increasing, and exports to other major Latin American countries(Chile, Peru, and Colombia), which have FTAs with Korea, have been decreased. And exports of almost all items, except steel and chemical products, to Latin America decreased. Third, the decline in Korea's exports to Latin America in the 2010s was affected by a decrease in Latin American import demand and a change in import structure, respectively, by 34% and 6%, and by 60% by Korea's export competitiveness. Fourth, Korea’s export competitiveness of almost all products, excluding steel and metal products, in Latin American market has been weakened in the 2010s.
목차
Ⅰ. 서론
Ⅱ. 한국의 대중남미 수출 개관 및 선행연구 검토
Ⅲ. 대중남미 수입시장점유율과 불변시장점유율 분석
Ⅳ. 대중남미 품목별 수출경쟁력 변동 분석
Ⅴ.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통합과 대치 사이의 중국-홍콩 관계
- How Overvalued Is the Dutch Housing Market: A Present-Value Approach
- 미 동맹국의 인도-태평양 해양전략에 대한 ‘지역인식’과 ‘국가전략구상’의 복합적 영향
- 생산함수 하의 FDI의 경제적 효과와 동태성에 관한 이론·실증적 연구
- Assessment of the Determinants of Adoption of Certified Rice Seed in Zambézia Province, Mozambique
- 한국의 대중남미 수출 변동 요인 분석
- 가치통상외교 전략에 관한 연구
- 국내 지역 간 고용 및 근로 소득의 격차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