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외국인 학부 신입생의 학문적 문식력 변화 양상 연구
이용수 6
- 영문명
- A Study on the Change of Academic Literacy of Foreign Undergraduate Freshmen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장미정
- 간행물 정보
- 『한국어교육』31권 1호, 105~135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3.31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cademic literacy change of foreign undergraduate students. It analyzed the compositions of foreign undergraduates who took the course ‘Thinking and Writing’ over two semesters at K university. Twelv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ey each wrote about four topics. Each composition was more than 600 characters, and a total of 48 compositions were analyzed. Academic literacy is “the ability to understand and produce text in a shared way in an academic community”. This study evaluated academic literacy using the categories of linguistic literacy, critical literacy, cultural literacy, and information literacy. After evaluating the academic literacy in the 48 compositions, we concluded that undergraduates progressively changed their academic literacy over a year, even though the rate had fallen to a specific point. The foreign undergraduate freshmen students in our study received relatively high scores for their cultural literacy and the content aspects of their linguistic literacy, while the expression aspects of their linguistic literacy received low scores. Although the improvement in cultural literacy was somewhat high through a communication course, such as a first year college writing class, the improvement in the expression aspects of linguistic literacy was somewhat low. It was apparent that the improvement in academic literacy was evenly achieved. In addition, when we looked at the changes in the academic literacy of upper, middle, and lower-level students, we saw different aspects of individual change.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대상 및 내용
4. 연구 결과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현대소설을 활용한 언어, 문학, 문화의 통합적 한국어교육 방안 연구
- 중국인 학습자 대상 한국어 오류 연구 동향 분석
- 의식 고양 과제를 활용한 한국어 학습자 대상 '-다'체 교육 방안
- 외국인 학부 신입생의 학문적 문식력 변화 양상 연구
- KSL 배경 학령기 학습자에 대한 연구 동향 분석
- 학술적 텍스트 쓰기를 위한 문법의 발견 학습 항목 선정 및 적용 연구
- 한국어교육을 위한 유사 문법 항목의 비교 기술 방안 연구
- ‘한국어교육론’ 교과목의 플립러닝 수업 설계 연구
- Implementation of the Integrated Performance Assessment (IPA) in U.S. Post-Secondary Korean Language Classrooms: Focusing on Learners’ Experiences,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s the IPA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