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KSL 배경 학령기 학습자에 대한 연구 동향 분석
이용수 41
- 영문명
-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f KSL School-Age Learners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박진욱
- 간행물 정보
- 『한국어교육』31권 1호, 51~7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3.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mong KSL learners from the perspective of procedural literature analysis, and further present the direction of follow-up research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t has been more than a decade since the government-led policy on KSL learners for school-age began, and it is necessary to look at the trends in research on KSL learners during school years and analyze the tendency of the research subject. As the focus of preceding studies related to this was on trend analysis, the focus was placed on describing the percentage of research topics in each year through a quantitative approach, and the subjects of the studies included adult learners, or often limited to specific academic journals or dissertations. Therefore, this study included both dissertation and academic journal papers for trend analysis of KSL learners for school-age. After the criteria were established by applying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the analysis of the topics by year was conducted considering the task by period, and the learners’ types and the school level were considered. The analysis suggests that despite the short period of research, various subjects were studied in a compressed manner,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now being studied as an independent field as it comes to recent years. However, there were an imbalance in the theoretical research areas, and the “academic Korean language competence” part, which should be discussed fully, has yet to achieve.
목차
1. 서론
2. KSL 학습자 대상 동향 분석 선행연구
3. 연구 방법 및 절차
4. KSL 배경 학령기 학습자 관련 문헌 분석 결과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현대소설을 활용한 언어, 문학, 문화의 통합적 한국어교육 방안 연구
- 중국인 학습자 대상 한국어 오류 연구 동향 분석
- 의식 고양 과제를 활용한 한국어 학습자 대상 '-다'체 교육 방안
- 외국인 학부 신입생의 학문적 문식력 변화 양상 연구
- KSL 배경 학령기 학습자에 대한 연구 동향 분석
- 학술적 텍스트 쓰기를 위한 문법의 발견 학습 항목 선정 및 적용 연구
- 한국어교육을 위한 유사 문법 항목의 비교 기술 방안 연구
- ‘한국어교육론’ 교과목의 플립러닝 수업 설계 연구
- Implementation of the Integrated Performance Assessment (IPA) in U.S. Post-Secondary Korean Language Classrooms: Focusing on Learners’ Experiences,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s the IPA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