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 이공계 대학원 외국인 유학생의 언어 사용과 인식 연구
이용수 33
- 영문명
- A Study on the Language Usage and Perception of International Students at Graduate Schools of Sciences and Engineering in Korea: Focusing on In-school Situation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이주희 조태린
- 간행물 정보
- 『한국어교육』33권 2호, 193~225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6.30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mainly in school situations, the usage of languages by international students admitted to graduate schools of science and engineering in Korea and examine their views on the usage. To this end, this study investigated which language is mainly used, English or Korean, in three significant in-school situations: classes, laboratories, and administration. Further, the level of Korean proficiency for the above three situations private conversations with professors and colleagues and daily life outside of school - were identified. This study also asked questions about the language environment they considered in the stage of graduate school selection and the desired language environment for the university they attended. It also examined their thoughts on the recommended TOPIK grade as admission and graduation requirements. Through this survey, this study confirmed that English is used as the dominant medium of instruction and academic language in most domestic science and engineering graduate schools. This research also found that international students hardly felt the need for high-level Korean proficiency. This study concluded that English and Korean form a kind of “diglossia” at domestic graduate schools, especially science and engineering graduate schools.
목차
1. 서론
2. 연구 설계와 방법
3. 연구 결과
4. 연구 결과의 해석과 논의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