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남성 정장 재킷의 대량맞춤생산을 위한 체형 분류 방법
이용수 54
- 영문명
- Body Shape Classification Method for the Mass Customization of Men’s Formal Jacket
- 발행기관
- 충북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저자명
- 김인화
- 간행물 정보
- 『생활과학연구논총』제27권 제1호, 79~91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4.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Background/Objectives: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is to develop a new body shape classification method, that can be used for the mass customization of men’s formal jackets, using variables measured on the men’s flattened body surfaces.
Methods: Male participants in their 20s-50s were extracted from the 5th Size Korea database. The body surfaces were flattened into three-panels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structure of men’s formal jackets. Variables were measured on the flattened panels, and those were inputted into the PCA. K-means clustering was conducted to categorize the flattened figure types. A logistic regression model was established to predict the body surface types.
Results: 152 individuals were extracted for the body surface flattening. The 3D meshes were formed on the body surfaces, and those were flattened using distortion minimizing algorithm. Seventeen angles and two size differences were measured on the flattened figures, and five factors were extracted by the PCA. Five flattened figure types were extracted through k-means clustering: “normal”, “sway-back”, “bend-forward” “lean-back-b” and “lean-back-I”. The correspondence between the logistic regression model and K-means clustering was 90.79%.
Conclusion/Implications: The classification method developed in the present study enable the quick and convenient decision of apparel customer's body shape type. It is optimized for mass customization of men's jackets because the variables were measured by converting the body surface into a jacket pattern structur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청년근로자의 노동시장 지위변동 유형이 시간당 임금 및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가상현실(VR) 패션 스토어 환경에서의 소비자 휴리스틱 정보처리과정의 구조모델
- 코로나 시대, 장애인의 삶과 장애인 복지 실천의 변화에 대한 고찰
- 청주지역 남자중학생의 교복 착용 및 세탁관리 실태 조사
- 20-40대 한국 남녀 성인의 밀키트 이용실태와 영양지수
- 방검 성능을 부여한 차세대 경찰 외근조끼 디자인 개발
- Relationship between Body Dissatisfaction and Body Size of Males in Their Twenties
- 응용학문으로서 의류학을 위한 융복합 연구 방향 제안
- 남성 정장 재킷의 대량맞춤생산을 위한 체형 분류 방법
- 청주지역 일부 대학생의 혼자 식사(혼밥) 섭취 실태 및 관련 식행동
- 생활과학연구논총 제27권 제1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BEST
- 국내 커피전문점의 성공사례 분석
- 경제적 어려움이 청소년의 외로움 및 사회적 고립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 소통․협력의 조절효과
-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참여 경험이 교사-다문화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NEW
- 농촌지도와 개발 32권 1호 목차
- 지역주민의 인지된 영향과 주민참여가 지역사회개발사업 지지에 미치는 영향 - 공동체 의식의 조절된 매개효과
- 한우농가의 저메탄 사료에 대한 수용의도 영향관계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