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20-40대 한국 남녀 성인의 밀키트 이용실태와 영양지수
이용수 645
- 영문명
- Meal Kits Using Pattern and Association with Nutrition Quotient of Korean Men and Women Aged 20s to 40s
- 발행기관
- 충북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저자명
- 권은지 강현주 이홍미
- 간행물 정보
- 『생활과학연구논총』제27권 제1호, 1~12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4.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Background/Object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requency of using meal kits and the Nutrition Quotient (NQ) of adult men and women by age group.
Method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301 people (170 females/131 males; age group 138/20s, 82/30s, 81/40s; using frequency, 70 in high-frequency/166 in low-frequency) nationwide.
Results: The usage status was compared by gender More of high-frequency group (57.1%) and in the high-age group (57.8%) purchased meal kits online market, regardless of gender. The rate of spending ‘more than 13,000 won' on purchases was high among men (52.1%), 40s (59.4%), and high-frequency group (65.7%). When purchasing meal kits, the first priority was ‘taste' in both gender, but the second priority was ‘convenience' in men and ‘contents' for women. The purpose of purchasing meal kits ‘family meal’ was ranked first for both gender, but ‘meals while traveling' (9.2%) and ‘snacks' (11.7%) ranked second for women and men, respectively. Without difference by gender, age group, or frequency of use, the most answered reasons for using meal kits were ‘simple cooking', followed by ‘short cooking time' > cheaper than eating-out > various menu > shorter shopping time > sense of accomplishment of cooking by myself > convenient storage and the most frequently using menu was soup/tang/stew, followed by noodles > rice > snacks > side dishes > salads. The frequency of using meal kits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NQ in balance section for men in their 30s and women in their 40s and negatively with that in moderation section, especially for men in their 30s and 40s and women in their 40s.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ed that frequent meal kit eaters need to be educated on the quality of meals and eating behaviors to keep in min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0-40대 한국 남녀 성인의 밀키트 이용실태와 영양지수
- 청년근로자의 노동시장 지위변동 유형이 시간당 임금 및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가상현실(VR) 패션 스토어 환경에서의 소비자 휴리스틱 정보처리과정의 구조모델
- 응용학문으로서 의류학을 위한 융복합 연구 방향 제안
- 청주지역 일부 대학생의 혼자 식사(혼밥) 섭취 실태 및 관련 식행동
- 청주지역 남자중학생의 교복 착용 및 세탁관리 실태 조사
- 방검 성능을 부여한 차세대 경찰 외근조끼 디자인 개발
- 코로나 시대, 장애인의 삶과 장애인 복지 실천의 변화에 대한 고찰
- Relationship between Body Dissatisfaction and Body Size of Males in Their Twenties
- 남성 정장 재킷의 대량맞춤생산을 위한 체형 분류 방법
- 생활과학연구논총 제27권 제1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BEST
- 국내 커피전문점의 성공사례 분석
- 경제적 어려움이 청소년의 외로움 및 사회적 고립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 소통․협력의 조절효과
-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참여 경험이 교사-다문화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NEW
- 외식기업 레스토랑의 브랜드 풍문이 신뢰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시판이유식 선택속성이 고객만족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코로나19 발병 이전(2019년), 코로나19 팬데믹(2021년), 그리고 엔데믹(2023년) 동안 음식배달 선택요인 조사: 장바구니 분석을 적용하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