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가상현실(VR) 패션 스토어 환경에서의 소비자 휴리스틱 정보처리과정의 구조모델
이용수 122
- 영문명
- Structural Model of Consumer Heuristic Information Processing for Fashion Products in the Virtual Reality Store Environment
- 발행기관
- 충북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저자명
- 김은영 박현정
- 간행물 정보
- 『생활과학연구논총』제27권 제1호, 147~159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4.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Background/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estimate the structural model of consumer heuristic information processing in the context of virtual reality(VR) fashion store. Specific objectives are to identify underlying dimensions of mental imagery, to examine the effect of mental imagery on telepresence, and to predict consumer choice heuristic for purchasing fashion products in the VR store environment
Methods: The VR store of fashion brand X was selected as a stimulus in the VR experiment.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developed to measure mental imagery, telepresence and choice heuristics. By online survey, a total of 319 usable responses was obtained from consumers (female=169, males=150) who were aged from 20 to 39 years old.
Results: The mental imagery was consisted of three factors, such as elaboration, haptic imagery, and spatial imagery. Estimated structural model showed that the elaboration and spatial imagery had positive effects on telepresence. Also, the telepresence influenced choice heuristics(e.g., intuition based heuristic and experience based heuristic), suggesting the mediating effect of telepresence between mental imagery and choice heuristics for fashion products at the VR store.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provides insights into understanding mechanism of information processing in the VR experience. Also, manageri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for applications of VR technology into strategic retail management in the fashion market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응용학문으로서 의류학을 위한 융복합 연구 방향 제안
- 청주지역 일부 대학생의 혼자 식사(혼밥) 섭취 실태 및 관련 식행동
- 청주지역 남자중학생의 교복 착용 및 세탁관리 실태 조사
- 청년근로자의 노동시장 지위변동 유형이 시간당 임금 및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가상현실(VR) 패션 스토어 환경에서의 소비자 휴리스틱 정보처리과정의 구조모델
- 생활과학연구논총 제27권 제1호 목차
- 20-40대 한국 남녀 성인의 밀키트 이용실태와 영양지수
- 방검 성능을 부여한 차세대 경찰 외근조끼 디자인 개발
- 코로나 시대, 장애인의 삶과 장애인 복지 실천의 변화에 대한 고찰
- Relationship between Body Dissatisfaction and Body Size of Males in Their Twenties
- 남성 정장 재킷의 대량맞춤생산을 위한 체형 분류 방법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BEST
- 국내 커피전문점의 성공사례 분석
- 소셜 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한 한국인의 K푸드 트렌드 분석
-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참여 경험이 교사-다문화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NEW
- 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이 유아의 주도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놀이몰입의 매개효과
- 교사행복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교수몰입과 교수창의성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 국내 아동 정서행동문제 상담 연구에서 중재 충실도 적용 현황 및 과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