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외식 소셜미디어에 대한 지각된 가치가 지식공유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0
- 영문명
- Effects of perceived value on eating out social media on knowledge sharing and purchasing intentions
- 발행기관
- 한국식공간학회
- 저자명
- 김용겸(Yong-gyeom Kim)
- 간행물 정보
- 『식공간융합연구』20권 3호, 19~36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5.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외식 소셜 미디어에 대한 소비자의 지각된 가치가 지식공유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검증하여, 소비자의 지각 가치 및 지식공유 플랫폼에서의 행동의도를 이해하고, 이를 통하여 외식기업에서는 소비자가 요구하는 가치를 파악하여 마케팅 전략으로 활용하기 위한 목적을 갖는다. 이러한 목적달성을 위하여 외식 소셜 미디어를 경험한 소비자를 대상으로 SPSS 27.0 프로그램으로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지각된 가치는 지식공유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결과로 나타났다. 둘째, 지식공유는 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결과로 나타났다. 셋째, 지각된 가치는 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결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기존의 선행연구에서는 쾌락적 가치가 실용적 가치보다 더 영향성이 있는 결과를 제시하였지만, 본 연구에서는 실용적 가치가 영향성이 높게 나타나 다소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소비자가 인식하는 가치는 소비자가 지급하는 비용대비 제품의 기능, 유용성 등 실용적 가치를 인식할 수 있는 제품으로 외식업체는 마케팅 전략을 마련해야 함을 제시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s’ perceived value of restaurant social media and knowledge sharing and purchase intention, understand consumers’ perceived value and behavioral intention on knowledge sharing platforms, and use this to identify the value consumers demand and utilize it as a marketing strategy for restaurant businesses. To achieve this goal, the SPSS 27.0 program was used to conduct statistical analysis on consumers who experienced restaurant social media. As a result, first, perceived value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knowledge sharing. Second, knowledge sharing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Third, perceived value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Accordingly,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hedonic value has a greater effect than utilitarian value; in contrast, this study showed that the utilitarian value has a greater effect. This suggests that restaurants should establish marketing strategies for products that consumers can recognize as having practical value such as product function and usability relative to the cost to consumers.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설계
IV. 분석결과
V.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BEST
- 국내 커피전문점의 성공사례 분석
- 소셜 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한 한국인의 K푸드 트렌드 분석
-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참여 경험이 교사-다문화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NEW
- 베이커리카페의 브랜드 자산이 브랜드 만족도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외식 소셜미디어에 대한 지각된 가치가 지식공유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커피산업 종사자의 자기주도 직무재구성이 직무만족, 직무열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