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청년근로자의 노동시장 지위변동 유형이 시간당 임금 및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27
- 영문명
- Effects of Youth Workers’Labor Market Status Change on Hourly Wages and Job Satisfaction
- 발행기관
- 충북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저자명
- 박성희 최은영
- 간행물 정보
- 『생활과학연구논총』제27권 제1호, 93~111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4.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Background/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rack down the change of labor market status of young workers for a long period of time of 11 year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best and poorest quality jobs using both objective indicator (hourly wages) and subjective indicator(job satisfaction).
Methods: For this study, 1,351 young workers aged 20 to 39 in 2009 were analyzed using the combined individual data from the 12th wave (2009) to the 22nd wave (2019) of the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KLIPS) collected by the Korea Labor Institute. The analysis was conducted with frequenc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22.0 program.
Results: Hourly wages were higher in both types of the primary market group than ‘the trapped in the secondary market type’, but only the primary market continuation type showed higher job satisfaction than ‘the trapped in the secondary market type’. This study is theoretically and empirically meaningful in that it verified the differences in hourly wages and job satisfaction by type of labor market status change even in workers who have successfully maintained employment for 11 years, as well as in that it found out the effects of the privileges of the best quality job holders and the unfair penalties of the poorest quality job holders.
Conclusion/Implications: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is clearly obvious that integrated interventions in employment and social welfare are required before workers enter the labor market. In addition, strong policy measures must be implemented in order to both alleviate and break the gaps in labor market status of young worker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응용학문으로서 의류학을 위한 융복합 연구 방향 제안
- 청주지역 일부 대학생의 혼자 식사(혼밥) 섭취 실태 및 관련 식행동
- 청주지역 남자중학생의 교복 착용 및 세탁관리 실태 조사
- 청년근로자의 노동시장 지위변동 유형이 시간당 임금 및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가상현실(VR) 패션 스토어 환경에서의 소비자 휴리스틱 정보처리과정의 구조모델
- 생활과학연구논총 제27권 제1호 목차
- 20-40대 한국 남녀 성인의 밀키트 이용실태와 영양지수
- 방검 성능을 부여한 차세대 경찰 외근조끼 디자인 개발
- 코로나 시대, 장애인의 삶과 장애인 복지 실천의 변화에 대한 고찰
- Relationship between Body Dissatisfaction and Body Size of Males in Their Twenties
- 남성 정장 재킷의 대량맞춤생산을 위한 체형 분류 방법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BEST
- 국내 커피전문점의 성공사례 분석
- 소셜 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한 한국인의 K푸드 트렌드 분석
-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참여 경험이 교사-다문화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NEW
- 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이 유아의 주도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놀이몰입의 매개효과
- 교사행복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교수몰입과 교수창의성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 국내 아동 정서행동문제 상담 연구에서 중재 충실도 적용 현황 및 과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