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thnic Fractionalization, Electoral Institutions, and Citizens` Political Attitudes in Africa
- 발행기관
- 국제지역학회
- 저자명
- 조원빈 ( Won Bin Cho )
- 간행물 정보
- 『국제지역학회 학술대회자료집』2012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497~516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3.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사하라사막 이남 15개 국가에서 이루어진 여론조사 데이터인 아프로바로메터(Afrobarometer) 데이터를 이용해 다수의 종족으로 구성된 아프리카 신생민주주의 국가에서 다양한 선거제도가 일반 시민들의 정치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한다. 아프리카의 신생민주주의 국가들이 유사한 선거제도를 도입했음에도 불구하고 각 국가들이 처해 있는 사회구조, 특히 종족 구성이 어떻게 이루어져 있는가에 따라 아프리카인들이 새로운 민주주의 정치체제에 대해 느끼는 만족감은 다양하게 나타난다. 본 논문은 다양한 선거제도를 둘로 구분 한다(다수제와 비례대표제). 다수제 선거제도는 선출직에 있는 정치 엘리트들이 유권자에 대해 가져야할 직접적인 책임의식을 강조하는데 비해 비례대표제 선거제도는 사회를 구성하는 다양한 집단들의 이해관계를 비례적으로 대변하는 것을 강조한다. 본 논문은 연구결과로 종족 분열구조가 매우 극심한 국가에서는 다수제 선거제도보다 비례대표제 선거제도를 도입한 경우 일반 시민들이 민주주의 정치체제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는 경향이 강했다. 반면, 종족 분열구조가 덜 심한 국가에서는 다수제 선거제도를 도입한 경우 아프리카인들이 민주주의 정치체제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경향이 강했다.
영문 초록
How do electoral institutions interact with the ethnic fractionalization in shaping citizens` attitudes towards their political systems? Using Afrobarometer survey data collected from 15 sub-Saharan African countries, along with contextual variables,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electoral systems have differential effects on citizens` attitudes about regime performance in various social contexts. Majoritarian electoral systems are likely to exacerbate the negative effect of ethnic fractionalization on popular trust in political institutions, satisfaction with democracy, and perception of government responsiveness. By contrast, proportional representation (PR) electoral systems tend to mitigate these negative effects. While majoritarian electoral systems emphasize the directness and clarity of the connection between voters and policy-makers, PR systems facilitate the representation of all factions in society. At lower levels of ethnic fractionalization, therefore, majoritarian electoral systems are better for boosting popular support for the political system, whereas at higher levels of ethnic fractionalization, PR systems enjoy an advantage.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회사
- 일본에서 한류(韓流)문화 확산과 인식 연구
- 탄소 배출권 가격과 바이오퓨얼 가격의 상관관계 분석
- 한국재벌과 지주회사체제: 두산그룹의 사례
- 자가용 구매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중국 자동차 시장을 중심으로-
- 중국의 도시와 농촌의 소득 격차에 관한 연구
- 다문화 정책정향성과 다문화 수용성에 관한 연구
- 이중양분선택법에 의한 한강 수변 경관의 가치 추정과 그 시사점
- 한국 군 인트라넷 사용이 신세대 장병들의 군복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성별에 따른 인터넷 쇼핑동기가 만족도, 신뢰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relationship between Stock prices and Macroeconomics variables: The Evidence from Mongolia and Korea
- 담양세계대나무엑스포 개최에 따른 지역경제파급효과 분석
- 국제 전략적 제휴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제휴파트너 선정기준을 중심으로
- 재래시장 이용자의 이용특성 및 선택 속성에 관한 비교 연구(한 중 비교)
- 친디아(Chindia) 소비자들의 한국제품 선택에 관한 비교연구: 삼성 및 LG 핸드폰을 중심으로
- The study on the equality and non-discrimination of human right in Korea society
- 보완성이 장기지향성, 지식이전의 활동 및 성과 간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
- 일본 금융시장의 리스크 외부파급효과에 관한 연구
- 중국의 동아시아 진출현황 분석과 우리나라의 대응방안 연구
- 한국기업 해외자회사의 현지화 수준에 관한 연구
- 일본의 TPP 참가 논의에 대한 정치경제적 함의
- 시장분리, 가격할인, 가격정보전달: 중국의 교차 상장된 A주와 H를 중심으로
- 메가 이벤트의 데스티네이션 이미지 제고 효과 확대를 위한 마케팅전략: 여수세계박람회 사례
- 종족 분열구조와 선거제도가 아프리카인의 정치태도에 미치는 영향
- 국제에너지 경쟁력 측면의 태양광발전을 위한 도로방음벽에 대한 경제성 분석
- 중국인의 한국TV 드라마 시청이 한국제품 이미지에 미치는 후광효과와 단순노출효과
- 갈등관리에서 비교효용분석의 응용: 레온티에프의 1978년 UN보고서의 확장
- Harmonization and Diversity of the Customs and Practices in the Inter national Sales Transaction
- 세계화에 대처하는 사우디아라비아의 역동성에 관한 연구 -초기에서 1980년대 까지-
- Trading agents with bounded rationality in emission trading: A simulation
- 비혼의 변동: 도시와 농촌 비교
- 한국의 장내파생상품 제도에 대한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