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Household Capability of Debt Payment between Homeowners and Renters
- 발행기관
- 한국주택학회
- 저자명
- 강지민(Jimin Kang) 진창하(Changha Jin)
- 간행물 정보
- 『주택연구』第33卷 第3號, 5~36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주택시장의 경기변동에 따라 가계의 부채상환능력과 잠재적인 채무불이행 위험의 변화를 측정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부도확률(Probability of Defaul : PD)과 가계부실위험지수(Household Debt Repayment Index : HDRI)를 작성하여 개별가구의 금융위험을 측정하였다. 또한 주택시장 변동이 실제로 발생하였는지 그리고 주택시장 변동에 구조변화가 시점을 측정하기 위해 Quant-Andrew 구조식별법을 이용해 2020년 상반기에 주택시장의 구조적 변화가 식별되었다. 본 연구에서 중점을 두고 살펴본 자가 보유 가구와 차가와의 차이에 있어 선택오류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성향점수 매칭법을 활용하여 유사한 특성을 가진 가구를 구축하여 주택시장에 따른 소비율, 저축률, 자산대비부채비율을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주택시장 변동시기에 자가와 차가의 상대적인 재무위험의 변화와 나아가 저축과 소비 부채비율의 변화를 통해 가계위험을 경감할 수 있는 지역 및 연령에 따른 실질적인 정책수립에 도움을 줄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households’ debt repayment capacity and potential default risk in relation to fluctuations in the residential housing market. We construct a Probability of Default (PD) measure and a Household Debt Repayment Index (HDRI) as proxies for individual households' financial risk exposure. We also identify a structural break in the residential housing market in May 2020. Based on this, we compare relative changes between 2018, representing an upmarket phase, and 2021, representing a downmarket phase in the residential housing market. To mitigate selection bias between homeowners and renters, we employ the Propensity Score Matching (PSM) method to match two individual groups with similar characteristics. Using this approach, we analyze the relative changes in key financial indicators, including the consumption rate, saving rate, and debt-to-asset ratio. This study not only examines variations in households' debt repayment capacity and exposure to default risk across different housing market phases, but also provides an in-depth analysis of the financial conditions of renters and homeowners, with particular attention to changes in consumption and saving behavior.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검토 및 연구의 차별성
Ⅲ. 분석모형
Ⅳ. 실증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