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 자동차산업의 산업내 무역 결정요인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발행기관
- 국제지역학회
- 저자명
- 당영람 김석민
- 간행물 정보
- 『국제지역학회 학술대회자료집』2013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401~42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3.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OECD국가 간 자동차산업 대상으로 지난 22년간의 무역데이터를 이용하여 한국과 OECD 회원국 간 자동차산업의 산업내무역의 구조와 산업내무역 결정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데 있다. 분석 결과, 한국과 OECD 회원국간 산업내무역은 등락은 있지만 전반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2011년 기준 산업내무역이 가장 활발한 품목은 786(트레일러 및 세미트레일러)으로 GL지수가 0.98로 나타났으며, 782(화물자동차 및특수목적차량)이 0.78, 784(부분품 및 부속품)가 0.46, 781(승용자동차 및 기타의차량)이 0.30 순으로 분석되었다. 2011년을 기준으로 GL지수가 가장 높은 국가는 스웨덴(0.77)이며, 독일(0.62), 일본(0.55), 오스트리아(0.52), 폴란드(0.46), 영국(0.46), 프랑스(0.41), 노르웨이(0.41) 순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칠레, 뉴질랜드슬로베니아, 덴마크, 아일랜드, 그리스, 핀란드, 체코공화국, 이스라엘, 스위스, 터키 룩셈부르크, 슬로바키아, 케나다, 오스트레일리아 등도 GL지수가 0.1 이하로 나타나 산업간무역의 특징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국 자동차산업 산업내무역 결정요인을 분석한 결과, 전체 자동차산업을 대상으로 한 GLS 분석결과 한국 자동차산업의 산업내무역은 양국간 평균 GDP 규모가 증가할수록, 양국간 경제규모의 차이가 작을수록, 교역 당사국의 1인당 평균 소득 수준이 높을수록 그리고 교역 당사국간 기술격차가 작을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영문 초록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광주지역 자동차부품산업의 시장환경변화와 대응전략
- 중국의 원산지관리제도에 관한 연구
- Housing and the Business Cycle: Evidence from the UK Housing Price and Quantity
- 종업원진정성에 대한 고객지각이 서비스품질, 만족, 신뢰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중국의 서비스산업 고객을 대상으로-
- 일본 신용보증기관의 효율성 분석: 52개 신용보증협회에 대한 부트스트랩 자료포락분석의 적용
- 한국외사경찰의 특성에 따른 다문화수용성에 관한 연구
- FTA 체결국가 제품의 소비자 후생수준에 관한 연구
- 한국 자동차산업의 산업내 무역 결정요인 연구
- ASEAN과 중국에 대한 일본기업의 진출 전략의 차이
- 중국의 과잉저축과 과잉투자: 원인과 정책
- 한국 공공근로자의 윤리적 향상과 책임성 고취를 위한 경험적 연구
- 대회사
- 한국의 주택가격: 추세-순환요인 분해
- 환율과 주가의 상호관계에 대한 연구: 두 차례 금융위기 이벤트를 중심으로 원/달러 환율과 KOSPI종합지수에 대한 실증분석
- 중국기업의 조직문화, 리더십유형과 조직 유효성에 대한 실증연구
- 미,중 민족주의의 특성과 양국관계: 메시아니즘과 천자관의 조우
- 칠레 콘세르타시온 정부 하의 생산레짐과 복지국가에 대한 연구
- 아시아, 유럽 주식시장 간 동태적 상관관계와 정보이전효과
- 한,인도 IT산업의 경쟁력 비교분석에 관한 연구
- 채무불이행위험에 관한 기업가치의 효과
- 1900년 파리세계박람회와 유럽 한류의 기원
- DEA모형과 Tier분석을 이용한 한,중 주요 항만배후단지 효율성 분석
- 지방자치시대 지역사회복지발전을 위한 화합적 디자인 모색 연구
- 한류문화가 재일코리안 기업가의 행복도에 미친 영향 연구
- 한,미 FTA에 따른 미국산 제품의 특혜관세 수출입절차와 미국상품 증명의 실효성
- Chinese Diaspora in Africa: Historical Development and Economic Cooperation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