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복지국가 발전 동인과 전망에 대한 비교사회정책적 재발견
이용수 3
- 영문명
- Rediscovery of Comparative Social Policy on the developmental factor and prospect for Welfare State
- 발행기관
- 국제지역학회
- 저자명
- 강병노(Kang Byeong ro) 권행운(Kwan, Heang Woon)
- 간행물 정보
- 『국제지역연구』제21권 제3호, 221~257쪽, 전체 37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9.30
7,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복지국가의 발전 동인을 비교사회정책적 관점에서 재발견하여 한국에의 함의를 모색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복지국가 발전은 여전히 진행 중이지만 신자유주의적 지구화에 의한 자본축적으로 인해 그 경로와 전망은 불안정하며 복지국가적 발전의 방식에 대한 비판적 검토가 필요하다. 구체적인 국가별 비교를 위해서 영국, 미국, 스칸디나비아(스웨덴, 노르웨이, 핀란드, 덴마크), 남아메리카(칠레, 브라질, 아르헨티나)를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영국은 사회적 보호의 전통에 의한 늙고 전통적인 복지국가, 미국은 자유주의와 개인주의를 바탕으로 불안전한 잔여적 복지국가, 스칸디나비아는 사회적으로 합의된 복지국가, 남아메리카는 불안정한 체제와 취약한 복지국가의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국가별 비교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한국에 함의로써 기본자산 보장, 공정한 사회에서의 정의와 자유, 국가의 역할 재정립, 자본축적의 통제와 관리, 사회적 권리향상을 위한 사회개혁 등 포괄적인 신복지기획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discover the development motives of welfare states from the viewpoint of comparative social policy and seek implications for Korea. The development of welfare states is still in progress, but the path and prospects are unstable due to capital accumulation by neoliberal globalization, and a critical review of the welfare state development approach is needed. For the comparison between specific countries, the U.K, the U.S, Scandinavia (Sweden, Norway, Finland, Denmark), and South America (Chile, Brazil, and Argentina)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U.K. is an old and traditional welfare state by the tradition of social protection, the U.S. is an insecure and residual welfare state based on liberalism and individualism, Scandinavia is a welfare state by societal corporatism and South America is characterized by an unstable regime and a vulnerable welfare state. Based on country-specific comparativ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proposed a comprehensive new welfare plan such as guarantee of basic assets, justice and freedom in a fair society, reestablishment of the role of the state, control and management of capital accumulation, social reform to improve social rights as implications for Korea.
목차
Ⅰ. 서론
Ⅱ. 복지국가 발전 동인관련 기존 이론의 비판적 검토
Ⅲ. 비교사회정책 연구의 내용과 방법
Ⅳ. 복지국가 발전 동인의 국가별 비교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주식시장의 정보의 비대칭성과 CDS의 관계에 관한 연구
- Measurement of Inter-provincial Trade Barriers by Types of Products in China
- 조직자본이 기업가치와 외국인 투자자 소유지분비율에 미치는 영향
- 복지국가 발전 동인과 전망에 대한 비교사회정책적 재발견
- 국내 외국인직접투자기업의 철수요인 분석
- 인도네시아 WTO 무역분쟁 연구
- 신협 부도예측모형에 관한 연구
- 기후변화와 국제관광수요의 관계에 관한 연구
- 한미 FTA 재협상론 대응 수단과 트럼프 보호무역주의 향방
- Liability of Foreignness vs. Competitiveness: The Lessons from Korean Firms’ Chinese Sequential Investments
- 한중간 소비재의 가격 할인율 변화에 따른 최적 수요탄력구간 추정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