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The Effects of Foreign Capital Inflows on Economic Growth in East African Community (EAC)

이용수  9

영문명
외국인 자본 유입의 동아프리카공동체 (EAC) 경제 성장에 미치는 영향
발행기관
국제지역학회
저자명
신다이헤부라 잠비엘(Sindayihebura Janviere) 우타이 우프라센(UTAI UPRASEN)
간행물 정보
『국제지역연구』제24권 제3호, 101~127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제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9.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경제 이론에서 외국 자본의 유입이 개발도상국의 성장에 중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으며 다양한 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경제 성장에 대한 외국 자본 유입 (FCI)의 영향을분석하기 위해 많은 연구가 수행되었다. 그러나 이 주제에 대한 이론적 및 실증적인 치열한논의에도 불구하고 외국 자본 유입(FCIs)의 국가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공감대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그 결과는 국가마다 다양하며, 기존 연구 자료를 살펴보면 국가 발전을 위해 의존하는 외국 자본의 유입이 외국인 직접투자 (FDI) 뿐이 아님에도 대부분이 외국인직접투자 (FDI)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에만 중점을 두고 있다. 결과적으로 이는 변수 누락으로인한 편향으로 추정 결과의 신뢰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동아프리카 공동체의 5개국(케냐, 르완다, 부룬디, 탄자니아, 우간다)의 경제 성장에 대한 FCI의 영향을 추정한다. 동일한 추정치에 외국인 직접투자(FDI), 송금(REM), 공적개발원조(ODA) 등 3가지 FCI 구성요소를 취합했으며 성장 이론의 개념에 근거한 추정에 무역 개방성을 추가하였다. 이 논문은 1990년부터 2017년까지의 연간 데이터를 사용하여 자기회귀시차분포모형(ARDL)을 적용하였다. 추정결과에 따르면, 외국인직접투자(FDI)는 케냐, 르완다, 우간다, 탄자니아의 경제 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부룬디의 경우 부정적인 영향이 발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부개발원조(ODA) 변수의 국가 발전에 미치는 영향이 긍정적으로 나온 상대는르완다였고, 반면 다른 국가에서는 부정적인 영향이 발견 되었다. 송금 변수에 대한 추정 결과는 케냐의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르완다의 경우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교역개방성은 탄자니아에서만 성장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부룬디, 우간다 케냐 및 르완다에서는 성장에 미치는 영향과 부정적 영향이 관찰되지 않았다.

영문 초록

It is well known from economic theories that foreign capital inflows play a central role in the growth of developing countries. Many studies have been undertaken to analyze the effects of foreign capital inflows (FCIs) on economic growth using different methodologies. Nevertheless, in spite of the intense discussion on the topic both theoretically and empirically, there is no consensus on the effects of FCIs on growth. The results differ across countries. In addition, most of the existing studies focus on the effect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FDI) on growth even if FDI is not the only foreign capital inflows that countries rely on for their development. This can reduce the reliability of the estimation results due to the bias from variables omission. Therefore, this study estimates the effect of FCIs on economic growth in five countries of the East African Community (Kenya, Rwanda, Burundi, Tanzania and Uganda). The study takes together three different components of FCIs which are foreign direct investment (FDI), remittances (REM) and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in the same estimation. Moreover, trade openness is added in the estimation based on the concept of growth theory. This paper applies the autoregressive distributed lag model (ARDL) using annual data from 1990 to 2017. The findings show that FDI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growth of Kenya, Rwanda, Uganda and Tanzania, while a negative impact is found for the case of Burundi. The positive effect on growth is also found for the case of ODA on Rwanda, while a negative impact is detected for other countries. The remittances results show a positive effect on Kenya's growth, whereas a negative effect is found for the case of Rwanda. Finally, trade openness is found to spur growth only in Tanzania, while no impact and negative effect on growth are observed in Burundi, Uganda Kenya and Rwanda.

목차

Ⅰ. Introduction
Ⅱ. Methodology
Ⅲ. Data and Empirical results
Ⅳ. Conclusion and policy recommendat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신다이헤부라 잠비엘(Sindayihebura Janviere),우타이 우프라센(UTAI UPRASEN) . (2020).The Effects of Foreign Capital Inflows on Economic Growth in East African Community (EAC). 국제지역연구, 24 (3), 101-127

MLA

신다이헤부라 잠비엘(Sindayihebura Janviere),우타이 우프라센(UTAI UPRASEN) . "The Effects of Foreign Capital Inflows on Economic Growth in East African Community (EAC)." 국제지역연구, 24.3(2020): 101-12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