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서아프리카 국가들의 지하경제와 택스갭(Tax Gap)
- 발행기관
- 국제지역학회
- 저자명
- Richard Akonor 오정훈(Oh, Jeong Hun)
- 간행물 정보
- 『국제지역연구』제24권 제3호, 27~42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9.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서아프리카 제국 경제 공동체(ECOWAS)에 속한 서아프리카 지역 16개국의 지하경제와 택스 갭(Tax Gap)의 규모를 측정하고 그에 대한 정책적 의미를 살펴보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본 논문은 하나의 잠재변수를 갖는 미믹(MIMIC) 모델을 이용하여 지하경제와 택스갭의 규모를 측정하였다. 측정결과 일인당 국내총생산(GDP), 실업률, 정부의 효율성, 정부규제의 질 등의 변수가 지하경제와 택스 갭과 역의 관계를 갖고 있음을 밝혀내었다. 따라서 이들 변수의 향상은 지하경제와 택스 갭의 규모를 축소시키며 나아가 서아프리카국가 경제에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밝혀내었다. 그 밖에 이들 서아프리카 국가들에서 지하경제의 규모가 조사기간 중 지속적으로 증가되고 있음을 발견했다. 그리고 택스 갭의 경우는2008년에서 2014년까지 그 규모가 지속적으로 증가되었고 그 이후에는 점차 감소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stimate the size of shadow economy and tax gaps of 16 West African countries in the Economic Community of West African States (ECOWAS). This paper employs a Multiple Indicator Multiple Cause (MIMIC) model with one latent variable in order to estimate the shadow economy and subsequently the tax gap. GDP per capita, unemployment rate, government effectiveness, and regulatory quality show negative signs on their coefficients implying an inverse relationship with the shadow economy and tax gap. Hence, their improvement will have a positive impact on those economies by narrowing the shadow economy and tax gap. It is also noticed that there is a general upward trend in the shadow economy in the West African countries. Rising shadow economy causes rising tax gap from 2008 to 2014, then a decline till 2017.
목차
Ⅰ. Introduction
Ⅱ. Literature Review
Ⅲ. Research Methodology
Ⅳ. Empirical Results
Ⅴ. Concluding Remarks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 Cross-Country Analysis on the Use of ICT and BDA as a Facilitator of Exports
- 세계 6대 연금기금의 운용수익률 분석
- 중국 소비자의 환경의식, 물질주의, 공감이 친환경 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일본의 NPO 최종소비지출의 단위구조와 산업간 연계
- Shadow Economy and Tax Gap in the West African Countries
- 글로벌 디지털 표준협력과 데이터 거버넌스
- 캄보디아 은행 대출행태의 이질성에 관한 연구
- The Effects of Foreign Capital Inflows on Economic Growth in East African Community (EAC)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