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Secret Investigation Report on Chosun, Dajokan Directive and Dokdo
- 발행기관
-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 저자명
- 정태만(Taeman Chung)
- 간행물 정보
- 『독도연구』제17호, 7~41쪽, 전체 35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2.30
7,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에도시대의 ‘죽도도해금지령’과 독도 조선령 인식은 그 후 메이지(明治)시대에 들어 외무성의 『조선국교제시말내탐서』(1870)와 『태정관지령』(1877)으로 이어졌다. 메이지 3년, 외무성의 『조선국교제시말내탐서』에서는 독도를 울릉도의 인도 (竹島ノ隣島)로, 또한 메이지 10년 최고국가기관인 태정관의 『태정관지령』에서는 독도를 ‘울릉도외일도’(竹島外一島)라고 하여 조선령임을 재확인했다. 1870년의 『조선국교제시말내탐서』와 1877년의 『태정관지령』은 독도를 울릉도에 부속된 섬으로 보는 지리적 인식의 산물인 동시에, 안용복사건 당시에 확인된 ‘울릉도와 독도는 조선영토’라는 사실을 한 번 더 확인한 것이었다. 다케시마(竹島)문제연구회에서 주장하는 것과 같이, 명칭혼동이나 착오에 의한 것이 결코 아니었다. 『태정관지령』은 독도영유권 귀속에 관한 역사적인 논쟁에 종지부를 찍은 것이다. 메이지정부 최고국가기관인 태정관은 1877년, 영토담당 정부기관인 내무성을 경유하여, 시마네현에 ‘울릉도와 독도를 시마네현의 지적에 올리지 말 것’을 지시하고, 그 내용을 관보에 해당하는 『태정류전』에도 공시했다. 『태정관지령』은 일본의 양심적인 학자에 의해 공개된 이래, 주로 일본계 학자들에 의해서 연구가 많이 된 반면에, 국내에서의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편이다. 연구부족 뿐만 아니라 근거자료로서의 가치도 저평가 되고 있다. 일본측에서 『태정관지령』을 부인 하는데 온 힘을 쏟아붓고 있다는 것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독도 문제에 대한 역사적 논쟁은 『태정관지령』을 얼마나 잘 활용 하느냐에 따라 그 성패가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 국제법적인 측면에서도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다.
영문 초록
In Edo era, Japanese government recognized Dokdo as Chosun s territory and banned the sailing to Takeshima. That recognition led to the Secret Investigation Report on Chosun(朝鮮國交際始末內探書, 1870) of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nd Dajokan Directive(太政官指令, 1877) of Dajokan, the highest national institution of Meiji government, in the beginning of Meiji era.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Japanese Meiji government confirmed that Dokdo was Chosun s territory regarding Dokdo as neighboring island of Ulleungdo in Meiji year 3. In Dajokan Directive, Meiji government recorded Dokdo under the name of Ulleungdo and one other island and reconfirmed it as Chosun s territory in Meiji year 10. The Secret Investigation Report on Chosun of 1870 and Dajokan Directive of 1877 were the result of geographic recognition which regards Dokdo as an annexed island of Ulleungdo, and Dajokan Directive reconfirmed the fact that Ulleungdo and Dokdo were confirmed as Chosun territory during the Ahn, Yong Bok Incident . As Takeshima Issue Study Group of Shimane Prefecture asserts, this was not due to confusion or error of the Japanese name on Dokdo. Dajokan Directive put an end to historic dispute regarding the Dokdo Sovereignty. In 1877, Dajokan, the highest national institution of Meiji government, ordered Shimane Prefecture not to record Ulleungdo and Dokdo as land of Shimane Prefecture by way of Department of the Interior, the government institution in charge of territory. Japanese Meiji government announced Korean sovereignty of Dokdo by recording Dajokan Directive in Dajoruiten, the official gazette. Since Dajokan Directive was made public by the conscientious Japanese scholar in 1987, Dajokan Directive has been studied mainly by Japanese scholars. On the other hand, Korean scholars study is not sufficient. Moreover, Dajokan Directive has been undervalued by most Korean scholars. Japanese who insist that Dokdo is Japanese territory are focusing all their efforts on stubbornly claiming that Dajokan Directive has nothing to do with Dokdo. Considering this, Korean researchers have to utilize Dajokan Directive as an important point of argument in Dokdo controversy. Dajokan Directive would be conclusive evidence in judging territorial belonging not only in historical aspect but also under international law.
목차
1. 머리말
2. 『조선국교제시말내탐서』와 ‘竹島의 인도’, 松島
3. 『태정관지령』과 그 중요성
4. 『태정관지령』의 ‘竹島외일도’, 松島
5. 맺음말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1953년 일본 순시선의 독도 침입
- 1905년 ‘각의결정문’ 및 ‘시마네 현 고시 제40호’와 독도 편입
- 일본의 독도강점을 ‘기록화’한 「나카이 요자부로 문서」 해제와 자료 소개
- 『조선국교제시말내탐서』 및 『태정관지령』과 독도
- 중국 주산군도 배 숭배에 대한 현장조사
- 독도 영유권 관련 자료로서의 「죽도고증(竹島考證)」의 역할과 한계
- 우리나라 독도교육 정책의 현황과 과제
- 나카이 요자부로(中井養三郞)와 독도 강점
- 일본 정부의 독도 영유권 문제에 관한 일방적 제소에 대한 대응조치(매뉴얼 작성 기본지침)
- 메이지 후기 지리지·향토지에 나타난 독도 기술
- 『장생죽도기(長生竹島記)』
- 일본 수로부 간행의 수로지와 해도에 나타난 독도
- 독도연구 제17호 목차
- ‘죽도의 날’에의 길: 시마네 현과 도쿄와의 관계라고 하는 관점으로부터의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