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우리나라 독도교육 정책의 현황과 과제

이용수  3

영문명
Present Situation of Korean Dokdo Education and the Assignment
발행기관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저자명
김호동(Hodong Kim)
간행물 정보
『독도연구』제17호, 269~307쪽, 전체 39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12.30
7,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2014년 1월 28일, 일본 문부과학성이 중·고등학교 ‘학습지도요령해설서’ 개정을 발표하였다. 2008·2009년의 경우 중·고등학교 지리에만 한정한 독도 관련 내용이 중학교 역사와 공민까지 확대되었고, 고등학교 일본사, 현대사회, 정치경제까지 확대되었다. 또 4월 4일, 일본 문부과학성에 의해 검정 통과된 초등학교 5, 6학년용 사회 교과서는 2010년 검증을 거친 현행 교과서보다 독도 영유권 왜곡을 훨씬 더 구체화·심화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4종 모두 “일본 고유 영토인 독도를 한국이 불법 점령했다”고 기술하였고, 예외 없이 독도에 ‘다케시마’라고 표기한 지도를 곁들이기도 했다. 이에 대응하여 이 논문은 ‘교육과정’의 독도 기술과 현행 교과서의 독도 기술 현황을 살펴보고 ‘독도교육 내용체계’ 개정을 통한 독도교육 강화방안을 제시하고, 그에 입각한 교육과정․교과서 개정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독도교육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교육정책기관과 연구자와 일선 현장 교육자와 상호 소통이 필요하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영문 초록

On January 28, 2014, Japanese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announced the amendment of Guide book to Teach and Leaning’for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The contents concerning Dokdo issue at the middle school which was limited to the textbook of geography in case of 2008·2009 was expanded to the textbook of history and public life, and to the textbook of Japan history, modern society, and political economics in high school. Also Japanese primary school textbook of society for 5th and 6th grade which passed the inspection in April 4 made it more detail and intensified the contents about Dokdo territory distortion. Four kinds of textbook all described “Korea illegally occupied Japanese inherent territory Dokdo”and inscribed map explaining Dokdo as ‘Takeshima’. This paper examined the description on Dokdo in present Korean textbook and ‘curriculum’to contradict Japanese intention, and suggest the necessity of amendment of ‘System of Dokdo Education’in curriculum․textbook to intensify Dokdo education. Also I emphasized communication among education authority, researchers, and line teachers to strengthen the education.

목차

1. 머리말
2. 독도교육 정책의 현황
3. ‘독도교육 내용체계’ 개정을 통한 독도교육 강화방안
4. 독도교육 정책의 과제
5.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호동(Hodong Kim). (2014).우리나라 독도교육 정책의 현황과 과제. 독도연구, (17), 269-307

MLA

김호동(Hodong Kim). "우리나라 독도교육 정책의 현황과 과제." 독도연구, .17(2014): 269-30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