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Cabinet Decision’ of 1905, ‘Notification No. 40 of Shimane Prefecture,’ and the Incorporation of Dokdo
- 발행기관
-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 저자명
- 허영란(Youngran Hur)
- 간행물 정보
- 『독도연구』제17호, 109~134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2.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에서는 메이지시기 울릉도·독도에 대한 일본 측의 인식 변화를 고려하면서 1905년 초에 일본 정부가 시행한 독도 편입 조치의 의미를 검토했다. 각의 결정 당시 일본 중앙정부는 독도를 더 이상 ‘마츠시마’나 ‘다케시마’라고 부르지않았다. 일본 정부는 나카이 요자부로가 제출한 ‘량코도 영토 편입 및 대하원’에서 사용했던‘량코도’나 전통적 명칭인 ‘마츠시마’ 또는 새로 취득한 무주지에 적당한 제3의 명칭이 아니라, 굳이 역사적으로 많은 혼동을 불러일으켰던 ‘다케시마’라는 명칭을 붙였다. 독도에 대해‘다케시마(竹島)’라는 명칭을 붙임으로써 일본 정부는 울릉도와 독도를 연결시켜 인식해온역사를 근본적으로 부정할 수 없었다는 것을 역설적으로 보여주었다. 일본 정부는 메이지시기에 감행한 도서(島嶼) 편입의 절차를 독도에 그대로 적용했다. 새로 섬을 편입한 후 소관 지방관청이 고시를 하는 것도 그 절차의 일부였다. 지방관청의고시는 중앙정부(각의결정)→지방관청(고시)→민간(대여)으로 연결되는 일련의 흐름 안에서파악해야 한다. 즉 고시는 대외적인 조치가 아니라 전적으로 국내용 조치였던 것이며, ‘시마네 현 고시 제40호’도 예외가 아니었다. 울릉도와 독도를 둘러싸고 2백년 이상 갈등이 있었에도 불구하고 일본정부는 한국정부에 대해 아무런 통고 조치를 취하지 않음으로써, 편입조치의 일방성을 웅변하고 있는 셈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meanings of the Japanese government s action to incorporate Dokdo in 1905, taking into account the changes to Japan s perceptions of Ulleungdo and Dokdo during the Meiji period. At the time of the cabinet decision, the central Japanese government no longer called Dokdo Matsushima or Takeshima. The Japanese government chose Takeshima, which had historically caused a lot of confusion, instead of Ryangkodo, which was used by Nakai Yojaburo in his The territorial incorporation of Ryanko island and lease request the traditional name Matsushima, or a proper third name for the newly acquired terra nullius(“empty land”). By entitling Dokdo Takeshima, the Japanese government paradoxically demonstrated that there was no fundamentally denying the history that had perceived Dokdo in connection with Ulleungdo. The Japanese government applied the procedure of incorporating islands from the Meiji period to Dokdo as it was. A notification by the concerned local agency after a new incorporation of island was part of the procedure. Notifications by local agencies should be understood in the flow from the central government(the cabinet decision) through local agencies(notification) to the private sector(rental). That is, notifications were not foreign measures but totally domestic ones. Notification No. 40 of Shimane Prefecture was no exception. In spite of conflicts over Ulleungdo and Dokdo for more than 200 years, the Japanese government gave no notification to the Korean government and thus demonstrated the unilateral nature of the incorporation action.
목차
1. 머리말
2. 1905년 각의 결정을 둘러싼 일반적 쟁점
3. ‘각의결정문’과 ‘다케시마(竹島)’ 명명 경위
4. ‘시마네 현 고시 제40호’의 의미
5.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1953년 일본 순시선의 독도 침입
- 1905년 ‘각의결정문’ 및 ‘시마네 현 고시 제40호’와 독도 편입
- 일본의 독도강점을 ‘기록화’한 「나카이 요자부로 문서」 해제와 자료 소개
- 『조선국교제시말내탐서』 및 『태정관지령』과 독도
- 중국 주산군도 배 숭배에 대한 현장조사
- 독도 영유권 관련 자료로서의 「죽도고증(竹島考證)」의 역할과 한계
- 우리나라 독도교육 정책의 현황과 과제
- 나카이 요자부로(中井養三郞)와 독도 강점
- 일본 정부의 독도 영유권 문제에 관한 일방적 제소에 대한 대응조치(매뉴얼 작성 기본지침)
- 메이지 후기 지리지·향토지에 나타난 독도 기술
- 『장생죽도기(長生竹島記)』
- 일본 수로부 간행의 수로지와 해도에 나타난 독도
- 독도연구 제17호 목차
- ‘죽도의 날’에의 길: 시마네 현과 도쿄와의 관계라고 하는 관점으로부터의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