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Japanese Patrol Ship Invasion on Dokdo in 1953: Analysis on the 1st material of Japan Coast Guard
- 발행기관
-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 저자명
- 박병섭(Byoungsup Park)
- 간행물 정보
- 『독도연구』제17호, 203~241쪽, 전체 39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2.30
7,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광복 후 일본인의 독도 도항은 금지되고 있었기 때문에 일본인의 독도 침입은 거의 없었다. 그러나 1953년 독도가 미군 폭격연습장에서 해제되자 일본행정선의 독도 침입은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5월 시마네현(島根縣) 수산시험선 ‘시마네마루(島根丸)’가 독도에서 한국어민의 어로를 확인하자 일본정부는 이를 일본 영토권에 대한 침해 및 일본 영토로의 밀항,밀어로 간주하고 외무성이 주도해 ‘다케시마 단속’를 결정했다. 독도에서 ‘다케시마 단속’를 실행한 기관은 ‘제8관구해상보안본부’의 순시선이다. 순시선은 6월 27일 침입해 무장한 임검반(臨檢班) 및 시마네현 직원들이 동도에 상륙했다. 그들은 일본의 영토표주 및 ‘무단어로‘ 금지의 팻말을 세우는 한편, 어로 중인 한국 어민들을심문해 독도로부터 퇴거를 명했다. 이 심문에서 해상보안청 관원들이 집요하게 물은 것은한국 행정선이나 관헌의 동향이었다. 이 심문을 통해 일본정부는 독도의 침탈이 가능하다고 내다보았던 것 같다. 외무부는 이 사건을 『제4차 침범』으로 기록했는데 이런 침탈행위는 한국 관민을 분노시켰다. 한국정부는 어민들을 보호하기 위해 울릉경찰서 순라반을 독도로 파견했으나, 이를알게 된 일본정부도 순시선을 파견했다. 외무부가 이르는 『제5차 침범』이다. 7월 12일순라반은 독도에 침입한 순시선을 발견해 이를 임검했다. 순라반은 임검 후에 순시선을울릉도로 연행하려고 했으나, 순시선이 달아났기 때문에 순시선을 서도에서 총격했다. 이런 총격사건에도 불구하고 그 후도 일본정부는 독도의 침탈을 계속해, 1953년에는순시선이 독도에 17번이나 침입하고 일본의 영토 표주를 4번이나 세웠다. 결국 일본의소유원망을 표시하는 영토표주는 1953년 하반기 184일 간에 실로 69% 기간동안 세워져있었다. 즉 일본의 독도 침탈을 69% 허용한 셈이 된다. 그 사이에 한국의 영토표주는 전혀없었다. 일본이 독도 탈환을 개시한 1953년 하반기는 한국전쟁 탓으로 한국은 독도를 완전히 수호하지 못했으며, 일본의 독도 침탈을 충분히 막아내지 못했다.
영문 초록
After Korean liberation in 1945, Japanese were prohibited to sail to Dokdoand there was no invasion anymore. However, when U.S released Dokdo fromair bombing training target from Japan in 1953, Japanese government shipstried to sail to Dokdo again. In May 1953, Japanese MOFA leaded aninspection for Dokdo when Shimaneken marine laboratory ship ‘Shimanemaru(島根丸)’ confirmed Korean fishers activity on Dokdo, which was considereda territorial hazard and illegal sail to Japan or illegal fishing activity onJapanese territory. The practical team of Japanese inspection on Dokdo called ‘Takeshimainspection’ was belonged to ‘The 8th Regional Coast Guard Headquarter’patrol ship. The patrol ship landed on east rock of Dokdo on June 27 witharmed police and officials of Shimaneken. They stood a Japanese territorymarking pole and ‘prohibit fishing plate’ asking Korean fishers to withdrawfrom Dokdo. During this inquire, they intensely questioned about Korean shipactivity and government attitude which could judge Dokdo acquisition byJapan. Korea MOFA recorded this event as “The 4th Invasion” evoking Koreangovernmental and civilian wrath. Korean government dispatched police fromUlleungdo to Dokdo but Japan also dispatched a patrol ship, which is calledas “The 5th Invasion” by Korea. On July 12, Korean police found a Japaneseship invaded to Dokdo and inquired to take them to Korean police station,but Japanese patrol ship escaped from the situation and Korean police shotthe ship from the west rock. In spite of this gun shoot, Japanese government continued the invade toDokdo and Japanese patrol ship invaded 17 times on Dokdo standing territorymarking pole 4 times in 1953. Finally, Japanese territory marking pole wasstanding for 124 days in late 1953, which counting 69% permission ofJapanese invasion. There was no Korean territory marking pole on Dokdoduring the time. Korea was facing serious civil war between North Korea andSouth Korea in 1953 and failed to protect the territory when Japan startedinvasion on Dokdo and tried recovering the territory tactic.
목차
1. 머리말
2. 독도 침탈의 개시
3. 최초의 영토표주
4. 순시선에 대한 총격사건
5. “제5-9차 다케시마 순시”
6. “제10-16차 다케시마 순시”
7. 맺음말
키워드
해상보안청
제8관구해상보안본부
순시선 헤쿠라
순시선 나가라
수산시험선 시마네마루
다케시마 임검반
독도 순라반
울릉경찰서
영토 표주
총격사건
Japan Coast Guard
The 8th Regional Coast Guard Headquarter
patrol ship ‘Hekura’
patrol ship ‘Nagara’
marine laboratory ship ‘Shimane Maru’
Takeshima inspection team
Dokdo patrol team
Ulleung Police station
territory marking pole
shooting even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1953년 일본 순시선의 독도 침입
- 1905년 ‘각의결정문’ 및 ‘시마네 현 고시 제40호’와 독도 편입
- 일본의 독도강점을 ‘기록화’한 「나카이 요자부로 문서」 해제와 자료 소개
- 『조선국교제시말내탐서』 및 『태정관지령』과 독도
- 중국 주산군도 배 숭배에 대한 현장조사
- 독도 영유권 관련 자료로서의 「죽도고증(竹島考證)」의 역할과 한계
- 우리나라 독도교육 정책의 현황과 과제
- 나카이 요자부로(中井養三郞)와 독도 강점
- 일본 정부의 독도 영유권 문제에 관한 일방적 제소에 대한 대응조치(매뉴얼 작성 기본지침)
- 메이지 후기 지리지·향토지에 나타난 독도 기술
- 『장생죽도기(長生竹島記)』
- 일본 수로부 간행의 수로지와 해도에 나타난 독도
- 독도연구 제17호 목차
- ‘죽도의 날’에의 길: 시마네 현과 도쿄와의 관계라고 하는 관점으로부터의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