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Role and Limitations of “Jukdogojeung” in the Issue of Dokdo’s Territorial Sovereignty
- 발행기관
-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 저자명
- 정영미(Youngmi Jeong)
- 간행물 정보
- 『독도연구』제17호, 43~65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2.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은 19세기 중엽에 일본 외무성에서 편찬된 「죽도고증」이 지금의 독도 영유권 관련 이슈와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분석한 것이다. 흔히 「죽도고증」이 독도 영유권 관련 자료인양 인식되고 있으나, 이 자료는 어디까지이고 울릉도 영유권 관련 자료이다. 19세기 중엽 당시 일본 외무성에서 울릉도 영유권에 대해 논의된 내용이 수록되어 있는 것이다. 한편 일본 에도 시대 이래의 문서들에서 울릉도는 항상 독도와 함께 취급되어 왔다. 「죽도고증」은 이러한 문서들을 저본으로 편찬된 것이다. 따라서 이 자료는 에도 시대 독도 관련 기록에 대한 내비게이션의 역할도 한다. 「죽도고증」은 또 다른 의미에서 지금의 일본의 독도 영유권 논리와 관계가 있다. 「죽도고증」에 기술되어 있는 19세기 당시의 외무성에서의 울릉도 영유권 관련 논의에서 독도는 제외되어 있다. 그러나 이 때 기록국장 와타나베 히로모토가 울릉도가 일본 섬일 수도 있다는 주장을 하였는데 이 주장과 함께 그가 자신의 논리를 펼친 방법 -섬의 명칭 혼란-, 근거 자료 -오키의 마쓰시마- 가 후에 1950년대 일본 정부의 독도 영유권 논리와 주장의 토대가 된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paper covers a detailed analysis of how Jukdogojeung, a document compiled by the Japanes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in the mid nineteenth century, is linked to the current issue over the sovereignty of Dokdo. Jukdogojeung is commonly recognized as a material related to the sovereignty of Dokdo instead of Ulleungdo.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material only contains discussions on the sovereignty of Ulleungdo that took place between the Japanes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ficials in the mid nineteenth century. Meanwhile, Ulleungdo has always been paired with Dokdo in documents produced since Japan’s Edo period. It was under such circumstances when Jukdogojeung was compiled. Therefore, the document may also aid the navigation of records involving Dokdo from the Edo period. Jukdogojeung has also been alternately used in Japan’s rationale for their claim over the sovereignty of Dokdo. According to the description in Jukdogojeung, the Japanes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excluded Dokdo while discussing the sovereignty of Ulleungdo back in the nineteenth century. Yet, Watanabe Hiromoto, director of the records office at the time, raised the possibility that Ulleungdo could be part of Japanese territory. This claim by Watanabe and his rationale documented in the “Theory on Confusion Over Island Names,” also supported by the material “Matushima of Oki Islands,” provided a basis later on for the Japanese government in shaping its claim and argument for the sovereignty of Dokdo in the 1950s.
목차
1. 머리말
2. 「죽도고증」과 독도
3. 「죽도고증」과 ‘섬의 명칭 혼란’
4. 맺음말
키워드
죽도고증
마쓰시마 개척원
마쓰시마 개척 논란
오키의 마쓰시마
섬의 명칭 혼란
와타나베 히로모토
Historical Research on the Territorial Sovereignty of Takeshima (Ulleungdo) (Jukdogojeung)
Petition for the Colonization of Matushima (Ulleungdo)
‘마쓰시마 개척 논란’ The Nihon Argument For Colonizing Matushima (Ulleungdo)
Matushima of Oki Islands
Theory on Confusion Over Island Names
Watanabe Hiromoto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1953년 일본 순시선의 독도 침입
- 1905년 ‘각의결정문’ 및 ‘시마네 현 고시 제40호’와 독도 편입
- 일본의 독도강점을 ‘기록화’한 「나카이 요자부로 문서」 해제와 자료 소개
- 『조선국교제시말내탐서』 및 『태정관지령』과 독도
- 중국 주산군도 배 숭배에 대한 현장조사
- 독도 영유권 관련 자료로서의 「죽도고증(竹島考證)」의 역할과 한계
- 우리나라 독도교육 정책의 현황과 과제
- 나카이 요자부로(中井養三郞)와 독도 강점
- 일본 정부의 독도 영유권 문제에 관한 일방적 제소에 대한 대응조치(매뉴얼 작성 기본지침)
- 메이지 후기 지리지·향토지에 나타난 독도 기술
- 『장생죽도기(長生竹島記)』
- 일본 수로부 간행의 수로지와 해도에 나타난 독도
- 독도연구 제17호 목차
- ‘죽도의 날’에의 길: 시마네 현과 도쿄와의 관계라고 하는 관점으로부터의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