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학생들의 지하수에 대한 이해
이용수 2
- 영문명
- Middle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s of Groundwater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정진우(Jeong, Jin-Woo) 박순옥(Park, Soon-Ok) 김윤지(Kim Yun Ji)
- 간행물 정보
- 『교원교육』제25권 제3호, 1~15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7.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들의 공간능력에 따른 지하수에 대한 이해를 알아보는데 있다. 공간능력 상·중·하 수준의 각 학년 2명씩 총 18명의 중학생들이 그린 지하수에 대한 그림과 면담 자료로부터 지하수에 대한 이해를 지하수의 정의, 지하수의 형성, 지하수의 존재, 지하수의 이동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다수의 학생들이 지하수라는 단어의 뜻을 추측하여 지하수를 정의하였고, 지하수의 형성 과정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였으며, 지하수가 이동하지 않는 호수와 물탱크 형태로 존재한다고 생각했다. 연구 결과에서 대부분의 학생들이 지하수의 개념에 대한 이해의 어려움을 보였으며, 공간 능력에 따른 이해도의 차이는 크지 않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middle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s of groundwater according to their spatial ability. Students drawings of groundwater and interviews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results of students understandings of groundwater were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definition, process of forming, existent shape, and movement of groundwater. Many of the students defined the groundwater by guessing the word ‘underground . They lacked in understanding the process for the occurrence of groundwater. They also thought that the groundwater didn t move, but is stored in the shape of lakes or water tanks. Research results show that most of the students have difficulty in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groundwater, and that their understanding of groundwater don t have large differences, even though they have different levels of the spatial sensibilit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스크래치 프로그램을 사용한 주제통합형 수업이 고등학생의 프로그래밍 학습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의 일반학생과 영재학생들의 ‘곤충’에 대한 개념 인식 비교
- 유전의 우성과 열성에 대한 중
- 교사의 사회적 지지, 중고등학생 정신건강, 사회적 지지 기술 훈련 프로그램
- 도덕교육에서 통합적 접근 방법과 통합 논리에 관한 탐색
- 초등 미술에서 미술의 개념 이해를 위한 미학적 접근 방안 연구
- 고등학교 학생들의 교사인식 분석
- 표상전략교수와 직접교수가 수학학습부진아의 문장제 해결력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비교
- 다문화교육의 개념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 다문화주의에 기초한 초등 미술 감상 수업 연구
- 중학생들의 지하수에 대한 이해
- 대학 글쓰기 교과 개선을 위한 교수 개발 프로그램의 내용과 효과 분석
- 중국 연변조선족자치주 체육교육과정 문헌 고찰
- 읽기기술 향상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 초등학교 영어교육 활성화를 위한 영어도서관 활용 방안에 관한 조사연구
- 주제 진행에 따른 there 존재구문의 담화 기능
- 중등교사의 사회적 지지 기술 훈련 프로그램 개발
- 예비교사의 동영상 UCC 제작 및 활용 경험이 동영상 UCC 활용을 위한 교사교육에 주는 시사점
- 대학생들의 여가 스포츠 활동이 자기신체평가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발표 활동에서 예비 과학교사들의 동료평가에 관한 결과와 인식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