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학교의 일반학생과 영재학생들의 ‘곤충’에 대한 개념 인식 비교

이용수  24

영문명
Comparison of Conceptions on ‘Insects between the Average and Gifted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발행기관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저자명
이정애(Lee, Jeong-Ae) 홍승호(Hong, Seung-Ho)
간행물 정보
『교원교육』제25권 제3호, 276~291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07.30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일반학급 400명과 영재학급 155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초등학교 과학과 생명영역의 ‘곤충’에 관한 개념의 인식 및 오개념 형성 원인을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과학의 ‘곤충’과 관련된 단원에서 ‘곤충’에 대한 개념을 추출하여 타당도 검사를 거친 후 18개 문항을 선정하였으며, 개념 검사지를 총 555명에게 투입하였다. 설문 조사 결과, 18개 문항 중 11개 문항에서 일반학급 학생들이 영재학급보다 유의하게 높은 오답율을 나타냈다. 일반학급 학생들의 ‘곤충’ 개념에 대한 오인 요인으로는 주로 잘못된 유추로 인한 성급한 일반화와 직관적 사고 등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 간 오답율 비교에서는 ‘곤충’의 정의에 관한 2개 문항, 몸 구조에 관한 2개 문항, 한살이에 관한 1개 문항, 생활에 관한 3개 문항에서 여학생들이 남학생들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이에 대한 원인으로는 여학생들이 ‘곤충’을 징그러워하거나 무서워하는 경향이 높아 그와 관련된 개념 습득에도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학년 간 비교에서는 ‘곤충’의 정의에 관한 1개 문항, 몸 구조에 관한 1개 문항, 한살이에 관한 2개 문항에서 5학년 학생들이 6학년 학생들보다 오답율이 유의하게 높았다. 이는 6학년 과정에서 동물의 분류에 대한 내용을 학습하기 때문에 학습 경험이 많은 6학년이 ‘곤충’에 대한 개념을 잘 알고 있었다. 따라서 학교현장에서는 ‘곤충’에 대한 오개념 교정을 위하여 인지갈등을 유발할 수 있도록 다양한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여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misconception correction on insect . The study subjects are composed of 400 average and 155 gifted-in-scienc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a degree of the scientific concepts of the gifted students was much higher than that of the average students, especially in 11 items. The reasons of the wrong answers are classified into hasty generalizations by wrong deduction and intuitive idea. On the other hand, the proportion of wrong answers of female students was higher than that of male students, especially in 8 items. As the possible explanation for the difference, female students may dislike and creepy on insects compared to male students. Another possibility is that the difference may be appeared due to the lack of experience on insects in nature. The proportion of the scientific concepts of the 6th grade student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5th grade students, especially in 4 items, suggesting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learning experience. To correct the misconceptions on insects ,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teaching-learning materials to induce the cognition conflic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내용 및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정애(Lee, Jeong-Ae),홍승호(Hong, Seung-Ho). (2009).초등학교의 일반학생과 영재학생들의 ‘곤충’에 대한 개념 인식 비교. 교원교육, 25 (3), 276-291

MLA

이정애(Lee, Jeong-Ae),홍승호(Hong, Seung-Ho). "초등학교의 일반학생과 영재학생들의 ‘곤충’에 대한 개념 인식 비교." 교원교육, 25.3(2009): 276-29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