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다문화교육의 개념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이용수 46
- 영문명
-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nceptual awareness of multi-cultural education - Concentrated on the Focus Group Interview -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박귀선(Park, Kui Seon) 남상준(Nam, Sang Joon)
- 간행물 정보
- 『교원교육』제25권 제3호, 108~129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7.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사용하여 초등학교 일반교사와 다문화교육 경력교사들의 다문화교육 개념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후 그 결과를 중심으로 한국적 다문화교육의 대상, 목표, 교육내용과 그에 대한 접근방법 등의 범주에 대한 인식양상을 파악하였다. 포커스 그룹은 일반교사 2그룹과 다문화교육 경력교사 2그룹 씩 총 4그룹으로 구성하였으며, 그룹 당 4∼5명의 교사들이 참여하였다. 인터뷰를 통해 얻어진 자료는 전사한 후 코딩과정을 거쳐 내용분석을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번째 연구문제인 다문화교육 대상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크게 외부에서 유입된 구성원과 내부구성원의 2개 범주로 분류해 볼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인식은 양영자(2008)의 연구에서 다문화교육의 대상을 소수자와 다수자로 분류한 내용과 맥락을 같이 한다고 볼 수 있다. 두번째 연구문제인 다문화교육 목표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수용적 태도, 다양성 인정, 타집단 및 타문화에 대한 존중과 수용, 인간존중, 협력적 태도 등 9개의 하위범주로 분류할 수 있었다. 세번째 연구문제인 다문화교육 내용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첫번째 연구문제인 교육대상에서와 같이 하위범주를 외부유입 구성원과 내부구성원으로 분류해 볼 수 있었다. 네번째 연구 문제인 다문화교육 방법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교사개별적 접근방법과 Banks의 접근법, 활용시간의 범주로 분류해 보았다, 다시 하위범주로 교사개별적 접근 방법은 미디어 활용, 관련교과, 이문화교육으로 분류되었고, Banks의 접근법에서는 기여적, 부가적, 변환적, 사회행동적, 혼합적 접근법 등이 다양하게 나타났다. 그 외에 활용시간으로는 재량시간이나 상황이 발생할 때마다 교과수업시간에 영향을 받지 않고 수시로 교육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이 제시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nceptual awarenes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o understand teachers idea on such categories as the targets, goals, contents, approach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n situation by Focus Group Interview. The Focus Groups were composed of 2 teacher groups experienced in multi-cultural education, and 2 teacher groups in-experienced in multi-cultural education. Each groups was constituted by 4-5 teachers. Data collected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 was transcriped, coded, and content-analysed.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was as follows. First, two categories of target in multi-cultural education, interviewed teachers were aware are inflows from abroad and inner majority. Second, interviewed teachers awareness of the goal in multi-cultural education could be classified into acceptive attitude, recognizing variety, respecting and accepting other groups and cultures, respecting human beings, cooperative attitude. Third, interviewed teachers were aware the conten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ccording to the target in multi-cultural education. Fourth, the methods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terviewed teachers were grouped into contributions approach, additive approach, transform-the-curriculum approach, social approach, and mixed approach.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스크래치 프로그램을 사용한 주제통합형 수업이 고등학생의 프로그래밍 학습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의 일반학생과 영재학생들의 ‘곤충’에 대한 개념 인식 비교
- 유전의 우성과 열성에 대한 중
- 교사의 사회적 지지, 중고등학생 정신건강, 사회적 지지 기술 훈련 프로그램
- 도덕교육에서 통합적 접근 방법과 통합 논리에 관한 탐색
- 초등 미술에서 미술의 개념 이해를 위한 미학적 접근 방안 연구
- 고등학교 학생들의 교사인식 분석
- 표상전략교수와 직접교수가 수학학습부진아의 문장제 해결력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비교
- 다문화교육의 개념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 다문화주의에 기초한 초등 미술 감상 수업 연구
- 중학생들의 지하수에 대한 이해
- 대학 글쓰기 교과 개선을 위한 교수 개발 프로그램의 내용과 효과 분석
- 중국 연변조선족자치주 체육교육과정 문헌 고찰
- 읽기기술 향상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 초등학교 영어교육 활성화를 위한 영어도서관 활용 방안에 관한 조사연구
- 주제 진행에 따른 there 존재구문의 담화 기능
- 중등교사의 사회적 지지 기술 훈련 프로그램 개발
- 예비교사의 동영상 UCC 제작 및 활용 경험이 동영상 UCC 활용을 위한 교사교육에 주는 시사점
- 대학생들의 여가 스포츠 활동이 자기신체평가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발표 활동에서 예비 과학교사들의 동료평가에 관한 결과와 인식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