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읽기기술 향상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45
- 영문명
- The Effects of Reading-Skills Enhancement Program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Academic Achievement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김현경(Hyun Kyung Kim) 유형근(Yu Hyeong-keun)
- 간행물 정보
- 『교원교육』제25권 제3호, 241~26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7.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읽기기술 향상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읽기기술에 대한 선행 연구결과와 학습기술 검사에 포함된 읽기기술 구성요소를 검토하여 공통요소를 토대로 5개의 읽기기술 구성요소를 선정하였다. 이러한 구성요소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읽기기술을 습득하기 위해 읽기의 6단계를 설정하여 초등학교 고학년의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과 학업성취도 향상을 위한 11회기의 읽기기술 향상 프로그램을 구안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검증을 위해 초등학교 5학년 2개 학급을 임의로 선정하여 한 학급을 실험집단에, 다른 학급을 통제집단에 28명씩 배치하고 실험집단의 학생에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검사 도구는 김명철, 정태근(2001)이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에게 맞게 제작한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검사를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다변량 공분산분석(MANCOVA)을 통해 통계적 분석을 했으며 양적 결과에 대한 해석을 보완하기 위하여 회기별 경험 보고서와 상담일지를 통한 상담자 관찰내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읽기기술 향상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과 학업성취도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영문 초록
Modern society is information-oriented and requires a learner to acquire a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for lifetime, which can be fostered through a learning skills training. In particular, reading skills contain a very important meaning, in terms of the point that school learning is implemented by reading study materials or information in printed data such as pictures or writing. The research seeks to prove effects of reading-skills enhancement program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academic achievement. To do this, the research examined results of previous studies on reading-skill and constituent factors of reading-skill included in learning skills examination, and selected 5 reading-skill constituent factors based on common elements. Based on these constituent factors, the research established 6 stages of reading in order to acquire effective reading-skills and formed 11 sessions of reading-skills enhancement program for improving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academic achieve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rolled at higher levels. To verify hypothesis, the research selected at random 2 classes in elementary school grade 5 level, placed one class as experimental group, and other class as control group-each class composing of 28 students, and implemented program to students in experimental group. Results showed that reading-skills enhancement program has meaningful effects on lower-ranking elements of upper-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such as learning strategy, learning motive, and enhancement of learning self-concept. Further, reading-skills enhancement program has meaningful effects on upper-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hancement of academic achievements in Korean, Social studies and Science subjects.
목차
Ⅰ. 서론
Ⅱ. 프로그램 구안
Ⅲ. 연구방법
Ⅳ. 프로그램 효과 검증
Ⅴ.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스크래치 프로그램을 사용한 주제통합형 수업이 고등학생의 프로그래밍 학습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의 일반학생과 영재학생들의 ‘곤충’에 대한 개념 인식 비교
- 유전의 우성과 열성에 대한 중
- 교사의 사회적 지지, 중고등학생 정신건강, 사회적 지지 기술 훈련 프로그램
- 도덕교육에서 통합적 접근 방법과 통합 논리에 관한 탐색
- 초등 미술에서 미술의 개념 이해를 위한 미학적 접근 방안 연구
- 고등학교 학생들의 교사인식 분석
- 표상전략교수와 직접교수가 수학학습부진아의 문장제 해결력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비교
- 다문화교육의 개념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 다문화주의에 기초한 초등 미술 감상 수업 연구
- 중학생들의 지하수에 대한 이해
- 대학 글쓰기 교과 개선을 위한 교수 개발 프로그램의 내용과 효과 분석
- 중국 연변조선족자치주 체육교육과정 문헌 고찰
- 읽기기술 향상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 초등학교 영어교육 활성화를 위한 영어도서관 활용 방안에 관한 조사연구
- 주제 진행에 따른 there 존재구문의 담화 기능
- 중등교사의 사회적 지지 기술 훈련 프로그램 개발
- 예비교사의 동영상 UCC 제작 및 활용 경험이 동영상 UCC 활용을 위한 교사교육에 주는 시사점
- 대학생들의 여가 스포츠 활동이 자기신체평가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발표 활동에서 예비 과학교사들의 동료평가에 관한 결과와 인식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지원대상학생 및 장애 학생 교육을 위한 인공지능 활용에 대한 초등교사의 경험
- 읽기장애 조기 진단을 위한 AI 기반 인지진단모형(Cognitive Diagnostic Model) 연구
- 일상생활활동 교육과정과 연계한 지체중복장애학생의 구강관리 지원: 특수교사의 경험과 인식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