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고등학교 학생들의 교사인식 분석
이용수 25
- 영문명
- Analysis about High School Student s Teacher Cognition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지봉환(Ji, Bong-Hwan)
- 간행물 정보
- 『교원교육』제25권 제3호, 130~146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7.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교사는 학생을 전제로 의미를 부여받고 교사의 존재가치는 학생과의 관계 속에서 형성된다. 이에 따라 교사-학생 간 관계의 건강을 점검하는 것은 의미 있는 작업이다. 건강한 관계가 서로의 존재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교사와 학생은 서로 함께하는 환경 속에서만 존재할 수 있고 존재의미를 지닌다. 교사와 학생간의 건강한 관계가 요구되는 이유이다. 관계의 건강은 서로를 어떻게 판단하고 어떤 존재로 인식하느냐하는 문제와 관련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교사에 대한 학생의 인식을 통해 양자관계의 건강을 점검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교사에 대한 전통적 관점을 고찰하고, 학생의 교사에 대한 기본적 인식과 그러한 인식이 형성된 맥락을 조사하였다. 특히 학생들이 생각하는 교사의 역할과 학생과의 바람직한 관계에 대해 살펴보았고 교사와 학생간의 관계가 부정적으로 형성되는 원인 등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 결과 교사의 역할로는 ‘학습을 도와주는 일’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했으며, 학생과의 관계는 ‘스승과 제자’를 바람직한 모델로 생각하고 있었다. 그리고 교사의 비인간적 행위와 교과에 대한 능력 부족을 바라보는 시각이 매우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이러한 교사에 대한 학생의 인식과 관련한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eachers are given meaning from students, and their values are formed with the relationship of students. Therefore, checking teacher-student relationship is a meaningful work. For good relationships improve values of each other. Teachers and students can exist only under the environment of going together and have existing meaning. This is why good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are needed. A condition of a good teacher-student relationship is combined with a problem about judgement and recognition of each other. The aims of this study is to intend to check the condition of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through students recognition for teachers. To do this, I considered a traditional point of view about teachers and relationship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I also investigated carefully students fundamental recognition about teachers and connection about formation of such recognition. Especially, I looked at the role of teachers, good relationships with students, and causes of forming negative relationships with others.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generally, students were affirmative to their teachers, but their negative point of view was also high. Particularly this study shows that the students view about teachers is very negative when teachers do immoral acts and reveal their poor teaching ability. Finally, I dealt with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the cognition of students regarding such bad teacher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의 결과 및 분석
Ⅴ. 요약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스크래치 프로그램을 사용한 주제통합형 수업이 고등학생의 프로그래밍 학습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의 일반학생과 영재학생들의 ‘곤충’에 대한 개념 인식 비교
- 유전의 우성과 열성에 대한 중
- 교사의 사회적 지지, 중고등학생 정신건강, 사회적 지지 기술 훈련 프로그램
- 도덕교육에서 통합적 접근 방법과 통합 논리에 관한 탐색
- 초등 미술에서 미술의 개념 이해를 위한 미학적 접근 방안 연구
- 고등학교 학생들의 교사인식 분석
- 표상전략교수와 직접교수가 수학학습부진아의 문장제 해결력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비교
- 다문화교육의 개념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 다문화주의에 기초한 초등 미술 감상 수업 연구
- 중학생들의 지하수에 대한 이해
- 대학 글쓰기 교과 개선을 위한 교수 개발 프로그램의 내용과 효과 분석
- 중국 연변조선족자치주 체육교육과정 문헌 고찰
- 읽기기술 향상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 초등학교 영어교육 활성화를 위한 영어도서관 활용 방안에 관한 조사연구
- 주제 진행에 따른 there 존재구문의 담화 기능
- 중등교사의 사회적 지지 기술 훈련 프로그램 개발
- 예비교사의 동영상 UCC 제작 및 활용 경험이 동영상 UCC 활용을 위한 교사교육에 주는 시사점
- 대학생들의 여가 스포츠 활동이 자기신체평가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발표 활동에서 예비 과학교사들의 동료평가에 관한 결과와 인식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