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다문화주의에 기초한 초등 미술 감상 수업 연구
이용수 10
- 영문명
- A study on the multicultural art appreciation class for elementary schools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박은덕(Eun-Deok Park) 허태연(Heo, Tae-yeon)
- 간행물 정보
- 『교원교육』제25권 제3호, 220~240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7.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인재의 육성을 요구하는 시대적 흐름에 대응하여 제7차 교육과정에는 국제이해교육에 관한 내용이 제시되어 있다. 현재 다문화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은 도입 단계로서 일부 교과에서만 다루며 내용 구성도 단편적인 지식의 소개에 그치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주의에 기초하는 초등학교의 감상 수업을 미술교과에 도입함으로서 국제이해교육을 확대하는 방안을 모색하여 보았다. 이를 위하여 다문화 미술 감상 수업에 적합한 주제를 선택하여 감상 단원을 개발하고 수업에 적용해 본 결과, 학생들은 다문화 감상 수업을 통하여 외국 문화에 대한 편견을 없애고, 다른 나라의 미술을 감상할 때 새로운 시각을 가지고 바라보는 긍정적인 태도를 함양하는데 유효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current Korean art curriculum has an insufficient systematic curriculum for multi-cultural education as well as insufficient class hours. Given these difficult circumstances, this study aimed to suggest a multi-cultural appreciation class through the integration of curricula. Students can have an opportunity to understand other cultures without prejudice through a multi-cultural art appreciation class. They can perceive other cultures are not inferior or superior, but are equivalent to ours. Furthermore, students can have a new perspective on the appreciation of artworks. Through the appreciation class, which is made up of cultures and various types of background knowledge, students are able to gain a perception that the appreciation class is not fun or boring. Art is inseparable from culture. Therefore, it would be an opportunity for students to learn art appreciation more effectively by learning cultures.
목차
Ⅰ. 서론
Ⅱ. 다문화 미술교육에 대한 고찰
Ⅲ. 다문화주의에 기초한 미술 감상 수업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스크래치 프로그램을 사용한 주제통합형 수업이 고등학생의 프로그래밍 학습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의 일반학생과 영재학생들의 ‘곤충’에 대한 개념 인식 비교
- 유전의 우성과 열성에 대한 중
- 교사의 사회적 지지, 중고등학생 정신건강, 사회적 지지 기술 훈련 프로그램
- 도덕교육에서 통합적 접근 방법과 통합 논리에 관한 탐색
- 초등 미술에서 미술의 개념 이해를 위한 미학적 접근 방안 연구
- 고등학교 학생들의 교사인식 분석
- 표상전략교수와 직접교수가 수학학습부진아의 문장제 해결력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비교
- 다문화교육의 개념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 다문화주의에 기초한 초등 미술 감상 수업 연구
- 중학생들의 지하수에 대한 이해
- 대학 글쓰기 교과 개선을 위한 교수 개발 프로그램의 내용과 효과 분석
- 중국 연변조선족자치주 체육교육과정 문헌 고찰
- 읽기기술 향상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 초등학교 영어교육 활성화를 위한 영어도서관 활용 방안에 관한 조사연구
- 주제 진행에 따른 there 존재구문의 담화 기능
- 중등교사의 사회적 지지 기술 훈련 프로그램 개발
- 예비교사의 동영상 UCC 제작 및 활용 경험이 동영상 UCC 활용을 위한 교사교육에 주는 시사점
- 대학생들의 여가 스포츠 활동이 자기신체평가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발표 활동에서 예비 과학교사들의 동료평가에 관한 결과와 인식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5권 12호 목차
- 생성형 AI 챗봇과 중학생의 영어 자유대화 학습경험 사례 분석
- 상담학 전공 학부생의 현직 아동상담사 인터뷰 과제 경험: CQR-M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