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Vertical Empathy, Horizontal Empathy: A Qualitative Examination of Dis/ability Simulation Exercise
 - 발행기관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 저자명
 - 우충완(Woo, Chung-Wan)
 - 간행물 정보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제58권 제4호, 23~45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0.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두 가지 유형의 장애관련 모의체험활동을 질적 연구방법으로 비교·분석함으로써 기존의 장애인식개선교육 또는 장애이해교육에서 빈번하게 사용되는 모의장애체험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고 주류 및 비주류적 활동으로 구성되는 “비/장애 체험활동”이라는 비평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두 가지 유형의 활동을 주류 및 비주류적 체험활동으로 지칭·분류하고 설계하였다. A교육대학교 142명의 비장애 일반 예비초등교사들은 두 유형의 체험활동에 참여한 후 반응일지를 작성하였다. 수거된 총 130개의 반응일지는 질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수직적 역지사지”와 “수평적 동병상련”이라는 두 개의 상위주제들과 여섯 개의 하위주제(타자화 된 장애, 장애와 비장애의 서열화, 시혜적/치료적 접근, 사회화된 장애, 공감대 형성, 자기반영적 접근)이 도출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장애와 비장애에 대한 비평적 시각과 다층적 공감을 조성할 수 있는 다양한 체험활동의 개발과 실시에 대해 논의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wo-fold. By comparing and analyzing two types of disability simulation exercises, this study aims to critically problematize a disability simulation exercise and to provide a  Dis/ability Simulation Exercise  as an alternative. To do so, the researcher named two different types of simulation exercises mainstream and non-mainstream respectively and designed each accordingly. 142 nondisabled teacher candidates attending an A University of Education participated in the two exercises and were asked to write response papers. Using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is study analyzed the 130 response papers the partcipants submitted. Research findings from this study indicate two themes(vertical and horizontal empathy) narrated by six subthemes(otherized disability, hierarchical relations, charity/medical approach, socialized disability, empathy-forming, and self-reflexive approach). Based on the findings, the study discussed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which can foster critical perspectives on dis/ability and multi-layered empathy for disability awareness programs.
                    목차
I. 서 론
	                       
	                          II. 연구방법
	                       
	                          III. 연구결과
	                       
	                          IV.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왜소증 성인의 마이너신체성에 관한 생애사적 고찰
 - 지체장애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진단·평가및 중재수업에 대한 구조관계 분석
 - 고등학교 특수학급의 진로·직업교육과정 운영 실태
 - 그림 상징체계에 대한 유아들의 도상성 인식 조사
 - 발달장애학생 기초작업기술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 장애유아 통합교육과 교사 역량에 대한 유치원교사와 어린이집교사의 인식
 - 스마트폰 활용 멘토링 프로그램이 장애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도 및 대학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장애대학생의 가족지지와 대학생활 적응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교육공동체 구성요인 탐색
 - 수직적 역지사지, 수평적 동병상련
 - 중도·중복 장애 교육 연구의 동향 및 과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농촌 소규모 학교의 장소성에 관한 교육적 의미 고찰
 - 교육공무원법 개정(하늘이 법)을 둘러싼 인식과 정책 논증 분석
 - 최근 교육과정 분야에서의 전이 개념에 대한 이론적 고찰: 진화와 전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