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Perception of General Young Children on the Iconicity of Picture Symbol Systems
 - 발행기관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 저자명
 - 최정은(Choi, Jeong-Eun) 한경임(Han, Kyung-Im)
 - 간행물 정보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제58권 제4호, 217~247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0.30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4가지 그림 상징체계 (보드메이커, 키즈보이스, 오케이 톡톡, 포켓 AAC)의 도상성을 분석하고, 유아들이 인식하는 도상성 인식 요소가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 유아는 만 3세와 만 5세의 일반 유아 89명이었으며, 응답이 부적절한 6명을 제외한 83명 유아의 반응을 기반으로 4가지 그림 상징체계의 도상성과 도상성 인식 요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그림 상징체계의 선택은 어느 한 상징체계만을 선호하는 것이 아니라 각 어휘의 의미에 따라 각각 다른 이유로 상징을 다양하게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그림 상징체계의 그림 상징체계 인식 요소는 실제와의 유사성, 세부적 외형 묘사, 행동 묘사, 기능성/본질적 의미와 감성적 판단의 5가지 인식 요소로 범주화할 수 있었다. 그리고 명사 어휘에 대해서는 ‘실제와의 유사성’과 ‘세부적 외형 묘사’가 도상성 인식 요소로 작용하였고, 동사 어휘에 대해서는 ‘행동 묘사’, 형용사 어휘에 대해서는 ‘세부적 외형 묘사’와 ‘행동 묘사’, 기타 표현 어휘에 대해서는 ‘세부적 외형 묘사’가 도상성 인식 요소로 작용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which AAC(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picture symbols was more transparent among four AAC picture symbol system(Boardmaker, Kidsvoice, OKTocTalk and Pocket AAC). Another purpose was to find out perception elements for iconicity of picture symbol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83 young children aged from 3 to 5. For vocabulary and other expression test items, 45 vocabularies consisting of 29 Nouns, 9 Verbs, 7 Adjectives, and 16 additional other expressions were selected. For testing iconicity of symbols, an assorted symbol board consisting four picture symbol systems was used. The participants had to choose the most representative symbol in the order among four symbols. In order to find out the iconicity perception elements, the qualitative analyzing was performed through the answers of participants about the reason why they selected the symbol firstly among four picture symbol systems.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is study, in terms of Nouns, Verbs and additional other expressions, OKTocTalk symbols represented the best iconicity among four picture symbols. Second, in this study, iconicity perception elements were categorized by 5 elements; ‘Similarity of the reality’, ‘Detailed outline description’, ‘Behavior description’, ‘Functional/Essential Meaning’ and ‘Emotional decision’.‘ Similarity on the reality’ and ‘Detailed outline description’ were the key elements for iconicity perception of Nouns, while ‘Behavior description’ was for the Verbs, and the Detailed Outline description were for the Adjectives and additional other expression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왜소증 성인의 마이너신체성에 관한 생애사적 고찰
 - 지체장애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진단·평가및 중재수업에 대한 구조관계 분석
 - 고등학교 특수학급의 진로·직업교육과정 운영 실태
 - 그림 상징체계에 대한 유아들의 도상성 인식 조사
 - 발달장애학생 기초작업기술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 장애유아 통합교육과 교사 역량에 대한 유치원교사와 어린이집교사의 인식
 - 스마트폰 활용 멘토링 프로그램이 장애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도 및 대학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장애대학생의 가족지지와 대학생활 적응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교육공동체 구성요인 탐색
 - 수직적 역지사지, 수평적 동병상련
 - 중도·중복 장애 교육 연구의 동향 및 과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농촌 소규모 학교의 장소성에 관한 교육적 의미 고찰
 - 교육공무원법 개정(하늘이 법)을 둘러싼 인식과 정책 논증 분석
 - 최근 교육과정 분야에서의 전이 개념에 대한 이론적 고찰: 진화와 전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