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ecognition of Kindergarten Teachers and Daycare Center Teachers of Disabled Children Integrated Education and Teacher Capacit
 - 발행기관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 저자명
 - 손경희(Son, Kyoung-Hee) 박재국(Park, Jae-Kook) 강대옥(Kang, Dae-Ok)
 - 간행물 정보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제58권 제4호, 249~27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0.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장애유아 통합교육과 교사 역량에 대한 유치원교사와 어린이집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고, 이를 기초로 추후 통합교육을 더욱 활성화하는데 필요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경상남도 G시의 유치원교사 100명과 어린이집교사 99명으로 모두 199명이었다. 조사도구는 장애유아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관련 설문지로 8개의 범주, 총 9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료처리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교육의 필요성과 기대효과에 대하여 유치원교사와 어린이집교사 모두 통합교육이 필요하고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 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나, 유치원교사가 어린이집교사에 비해 긍정적인 편이었다. 둘째, 통합교육 상황에서 우려되는 점에 대하여 유치원교사와 어린이집교사는 모두 교사의 업무 부담과 원활한 수업 운영에 대한 우려를 갖고 있었다. 셋째, 유치원교사와 어린이집교사는 통합교육에 필요한 교사의 역량 중 가장 필요한 항목으로 가족과의 협력, 부모상담기술, 유아발달과 장애에 대한 지식 등에 가장 많은 반응을 하였다. 넷째, 장애유아 통합교육을 위한 전문가 지원형태에 대하여 유치원 교사와 어린이집교사 모두 유아특수교사의 전담배치를 가장 많이 원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cognition of kindergarten teachers and daycare center teachers of disabled children integrated education and teacher capacity, and to analyze which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to vitalize integrated education on the field. 100 kindergarten teachers and 99 daycare center teachers in G city, Kyeongsangnam-do were the subjects of the study. Based on the discussion and result of the study, conclusions were as follows. First, for the expected effect and necessity of integrated education, responses of kindergarten teachers appeared to be statistically higher than that of daycare center teachers; both kindergarten teachers and daycare center teachers thought integrated education was necessary, and expected it would bring positive outcomes. Second, for the worrying factors in integrated education situation, both kindergarten and daycare center teachers expressed concerns about work load and smooth class operation. Third, the study subjects answered that cooperation with families, parent consultation skills, knowledge about disability and infant development and etc was for the most necessary capacity of teachers for integrated education. Fourth, most of both kindergarten and daycare center teachers answered exclusive charge placement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ors for support type of experts which teachers want for disabled children integrated educ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논의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왜소증 성인의 마이너신체성에 관한 생애사적 고찰
 - 지체장애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진단·평가및 중재수업에 대한 구조관계 분석
 - 고등학교 특수학급의 진로·직업교육과정 운영 실태
 - 그림 상징체계에 대한 유아들의 도상성 인식 조사
 - 발달장애학생 기초작업기술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 장애유아 통합교육과 교사 역량에 대한 유치원교사와 어린이집교사의 인식
 - 스마트폰 활용 멘토링 프로그램이 장애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도 및 대학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장애대학생의 가족지지와 대학생활 적응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교육공동체 구성요인 탐색
 - 수직적 역지사지, 수평적 동병상련
 - 중도·중복 장애 교육 연구의 동향 및 과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농촌 소규모 학교의 장소성에 관한 교육적 의미 고찰
 - 교육공무원법 개정(하늘이 법)을 둘러싼 인식과 정책 논증 분석
 - 최근 교육과정 분야에서의 전이 개념에 대한 이론적 고찰: 진화와 전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