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등학교 특수학급의 진로·직업교육과정 운영 실태

이용수  1

영문명
The status of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curriculum management in special classes in high schools: Based on Busan
발행기관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저자명
김혜리(Kim, Hye-Ri) 김영미(Kim, Young-Mi) 정성민(Jung, Sung-Min)
간행물 정보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제58권 제4호, 99~124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10.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부산지역 고등학교 특수학급의 진로・직업교육과정 운영 실태를 파악함으로써, 향후 효율적이고 내실 있는 고등학교 특수학급 진로・직업교육과정 운영 및 지원 시스템 구축을 위한 방향성과 실제적인 방안의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이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총 67명의 고등학교 특수학급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다음의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고등학교 특수학급의 진로・직업교육과정 운영 시스템은 종전과 비교할 때 긍정적인 변화가 보였으나, 전담인력의 확충을 통한 내실 있는 진로・직업교육과정 운영 및 졸업 후 추수지도 등의 과제가 시사되었다. 둘째, 고등학교 특수학급의 진로・직업교육과정 내용 및 방법은 현장중심 교육이 강화되었다는 측면에서는 고무적이나, 제한된 직종 위주의 직업교육 내용 등의 문제가 여전히 남아있었다. 셋째, 고등학교 특수학급의 진로・직업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연계・지원 체제 실태를 검토하여 거점학교의 지원 확대, 연계・지원의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할 교・내외 협의체 구성 등의 방안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study aimed at presenting the direction and the way for effective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curriculum management and support system construction of a special education class in a high school by investigating the status of the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management of special classes in high schools in Busan. For the attainment of the study’s goal, 67 teachers in special classes in general high schools were selected as objects of the study. The follow findings were achieved through a survey of the teachers. Frist, the career and vocational curriculum management system has changed positively as compared with the past, but an expansion of persons in charge for effective career and vocational curriculum management and follow-up service after graduation is needed. Second, the fact that education based on field training been reinforced in the career and vocational curriculum content and the way of management is encouraging, but the occupational category provided from the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is still limited. Third, the ways such as organizing consultative groups outside or in school in charge of the core role of link and support and expanding support for a vocational stronghold school was suggested by reviewing the status of the linked support system for the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curriculum management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혜리(Kim, Hye-Ri),김영미(Kim, Young-Mi),정성민(Jung, Sung-Min). (2015).고등학교 특수학급의 진로·직업교육과정 운영 실태.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58 (4), 99-124

MLA

김혜리(Kim, Hye-Ri),김영미(Kim, Young-Mi),정성민(Jung, Sung-Min). "고등학교 특수학급의 진로·직업교육과정 운영 실태."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58.4(2015): 99-12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