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육의 뉴노멀, 초등학교 3~4학년 음악과 블렌디드러닝 실천연구
이용수 149
- 영문명
- The New Normal in School Education, Blended Learning in Music Classes for 3-4th Graders
- 발행기관
-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 저자명
- 양소영(Yang, Soh Yeong)
- 간행물 정보
- 『교육과학습: Global Creative Leader』제11권 2호, 193~214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6.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갑작스러운 COVID-19 팬데믹 선언으로 학교 교육의 비정상 수업이 하나의 새로운 정상으로 이행하는 교육의 과도기적 시점에서 교육의 뉴노멀이라 일컫는 블렌디드 러닝에 대한 개념을 파악하고 학습 내용에 관한 실천 방안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블렌디드 러닝이란 동시적 상호작용과 비동시적 상호작용 간의 조화, 학습 내용 계획, 적절한 기술의 선택 등 현장에서 활용하고 있는 새로운 방식의 온·오프라인 연계수업으로, 포스트코로나 시대 교육 분야의 대표적인 뉴노멀이다. 따라서 서울시교육청 수업모형을 바탕으로 블렌디드 수업 흐름도를 파악하고 수업 형태에 따라 학습 내용을 재구성하여 학교 현장에 실천할 방안을 수립한다. 이에 따른 시사점으로는 첫째, 온라인 수업에 해당하는 콘텐츠 활용 중심, 과제 수행 중심. 실시간 쌍방향 수업과 교실 수업간의 균형 잡힌 수업 설계에 실마리를 제공한다. 둘째, 온라인 수업만의 특징과 수업전략을 파악해야 한다. 셋째, 온라인 수업에서 교사의 역할은 강의자, 수업 촉진자, 가르침의 주체로 다양한 역할에 대비해야 한다. 블렌디드 러닝의 여러 형태에 대해 고민하고 학생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수업 개발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야 한다.
영문 초록
With the outbreak of the COVID-19 pandemic, school curriculums that would have been considered abnormal have become a new trend in school education. Under such circumstances,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concept of blended learning and explore an implementation plan by constructing curriculums. Blended learning is a new approach combining both online and offline learning activities, including harmony between simultaneous and non-simultaneous interactions, course planning and selection of appropriate techniques. It is “the New Normal” that has been the mainstream for education in a post-COVID world. Based on a teaching model of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this study develops an implementation plan by analyzing the flow of blended courses and reconstructing curriculums depending on class type. The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it offers a clue for the design of balanced courses between online realtime two-way (contents- and assignment-centered) and conventional classroom-centered classes. Second, it is requir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online classes and develop their course strategies. Third, in online classes, teachers’ roles will vary from instructors to class facilitators. Therefore, there should be continued efforts to develop diverse types of courses for students in consideration of various types of blended learning.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초등학교 3~4학년 음악과 블렌디드 러닝 실천 방안
Ⅴ.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학생의 창의적 리더십 함양을 위한 ‘창의성을 디자인하는 리더’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대학생의 학습참여와 고효과프로그램 참여가 학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 부모 행복감 구성요인 도출의 탐색 연구
- 고등학교 수학과 수행평가 실시현황 및 평가 기준안 분석 사례연구: 경기도 A시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 초·중·고 학교 관리자의 진로교육에 대한 인식 비교
- 포토보이스를 활용한 밀레니얼 세대 초등교사의 온라인 수업 교사리더십에 관한 인식
- 유튜브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위계적 선형모형을 활용한 중등학교 학교활력 영향요인 탐색
- 교육의 뉴노멀, 초등학교 3~4학년 음악과 블렌디드러닝 실천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