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생의 학습참여와 고효과프로그램 참여가 학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64

영문명
The Effects of Student Engagement and High-Impact Educational Practices on Academic Outcomes of the University Students
발행기관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저자명
김미성(Kim, Mi Sung) 송윤숙(Song, Yoon Suk)
간행물 정보
『교육과학습: Global Creative Leader』제11권 2호, 57~78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6.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학습참여 및 고효과프로그램 참여와 학업성과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대학생의 학습참여와 고효과프로그램 참여가 학업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대전 소재 A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 중 학부교육실태조사(K-NSSE)에 참여한 975명을 대상으로 학업도전, 교우와 학습, 교수와의 경험, 대학 환경에 대한 학습참여와 고(高)효과 프로그램 참여, 학업성과를 분석하였다. 먼저 학생들의 집단 특성에 따른 학습참여, 고효과 프로그램 참여, 학업성과에 대한 집단 간 평균비교에서 성별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계열 간 비교에서는 학습참여, 고효과 프로그램 참여, 학업성과 전반적으로 교육계열의 점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학습참여와 학업성과 간의 영향관계 분석에서는 교우와 학습을 제외하고 대학환경, 학업도전, 교수와의 경험 순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고효과프로그램 참여도 학업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학업성과를 높일수 있는 교과 및 비교과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또한, 고효과프로그램 참여가 학생들의 성장경험을 통해 학업성과를 높인다는 점을 고려하여 고효과프로그램 개발과 운영을 통해 학생들의 학문적 자아개념 강화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 engagement, highimpact practices, and academic outcomes for university students and to reveal how university student engagement in learning and participation in high-impact practices affects academic outcomes. To this end, 975 students who were enrolled in a university in Daejeon participated in K-NSSE, were analyzed for academic challenges, learning with peers, experience with professors, participation in learning about the university environment, participation in high-impact practice, and academic outcome.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y gender in the comparison of averages between groups for students engagement in learning, participation in high-impact practices, and academic outcomes according to group characteristics. In the comparison between departments, the education department had the highest score in terms of Student engagement, participation in high-impact practices, and academic outcome overall. In the analysis of the impact relationship between student engagement and academic outcome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effects in the order of university environment, academic challenge, and experience with professors. Participation in high-impact practices also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cademic outcomes.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operate curriculum and extracurricular programs that can improve academic performanc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미성(Kim, Mi Sung),송윤숙(Song, Yoon Suk). (2021).대학생의 학습참여와 고효과프로그램 참여가 학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교육과학습: Global Creative Leader, 11 (2), 57-78

MLA

김미성(Kim, Mi Sung),송윤숙(Song, Yoon Suk). "대학생의 학습참여와 고효과프로그램 참여가 학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교육과학습: Global Creative Leader, 11.2(2021): 57-7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