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포토보이스를 활용한 밀레니얼 세대 초등교사의 온라인 수업 교사리더십에 관한 인식
이용수 141
- 영문명
- Perception of Online Class Teacher Leadership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Millennials Using Photovoice
- 발행기관
-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 저자명
- 서시연(Seo, Siyeon)
- 간행물 정보
- 『교육과학습: Global Creative Leader』제11권 2호, 111~139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6.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포토보이스 방법을 활용하여 교사리더십 및 온라인 수업 교사리더십에 관한 교사들의 인식을 살펴보았다. 연구 참여자는 밀레니얼 세대에 해당하는 A시 교육청 소속 초등교사 5명이다. 연구결과, 일상의 교사리더십과 온라인 수업 교사리더십은 다르게 인식되었는데, 일상의 교사리더십은 ‘정해진 일을 하는 것’, ‘폭넓은 관심과 풍부한 소통’, ‘개별 학생의 성장 도모’, ‘기다림’으로, 온라인 수업의 교사리더십은 ‘만들어 가는 것’, ‘지엽적인 관심과 제한된 소통’, ‘꼼꼼한 계획 수립’, ‘세심하고 지속적인, 많은 안내’로 인식되었다. 또한, 온라인 수업 교사리더십을 촉진하는 요인으로는 ‘통제 가능한 변수와 합리화’, ‘교사 간 협력’, ‘학생들의 참여와 응원’ 등이 제시되었고, 저해하는 요인으로는 ‘통제 불가능한 변수와 아쉬움’, ‘끊임없는, 끝나지 않는 회의’, ‘학부모의 교사에 대한 신뢰 하락’, ‘교사의 교육부에 대한 신뢰 하락’ 등이 지적되었다. 이상을 바탕으로 온라인 수업 상황에서 밀레니얼 교사의 교사리더십 발휘 대상과 발휘 영역이 변화하였다는 점, 이들의 교사리더십에 밀레니얼 세대로서의 특성이 잘 발휘된다는 점, 교사의 관심과 소통이 소외된 학생에게 집중된다는 점, 온라인 수업과 관련하여 이미 개선된 문제도 있지만, 여전히 남아 있는 문제가 있다는 점을 결론으로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teachers’ perception of teacher leadership and online class teacher leadership using the photovoice method. Participants in the study are five teachers from the millennium generation amo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belonging to S City Office of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Daily teacher leadership and online class teacher leadership were perceived differently. ‘Being determined , ‘wide attention and rich communication , ‘promoting growth for individual students’, and ‘waiting are recognized for daily teacher leadership, and ‘creating , ‘narrow-minded attention and limited communication , ‘detailed planning’, and ‘careful, continuous, and lots of guidance are recognized for online class teacher leadership. Factors promoting online class teacher leadership were presented such as controllable variables and rationalization, cooperation among teachers, participation and cheering of students, and factors impeding were pointed out such as uncontrollable variables and regrets, ceaseless and never-ending meetings, a drop in parents confidence in teachers, and a drop in teachers confidence in the Ministry of Educ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ubject and the area of teacher leadership have changed in the context of online classes, that teachers’ attention and communication are concentrated on underprivileged students, that teacher leadership is characterized as a millennial generation, and that there are both already improved problems, and remaining problems relating TO online class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학생의 창의적 리더십 함양을 위한 ‘창의성을 디자인하는 리더’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대학생의 학습참여와 고효과프로그램 참여가 학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 부모 행복감 구성요인 도출의 탐색 연구
- 고등학교 수학과 수행평가 실시현황 및 평가 기준안 분석 사례연구: 경기도 A시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 초·중·고 학교 관리자의 진로교육에 대한 인식 비교
- 포토보이스를 활용한 밀레니얼 세대 초등교사의 온라인 수업 교사리더십에 관한 인식
- 유튜브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위계적 선형모형을 활용한 중등학교 학교활력 영향요인 탐색
- 교육의 뉴노멀, 초등학교 3~4학년 음악과 블렌디드러닝 실천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지원대상학생 및 장애 학생 교육을 위한 인공지능 활용에 대한 초등교사의 경험
- 읽기장애 조기 진단을 위한 AI 기반 인지진단모형(Cognitive Diagnostic Model) 연구
- 경계선급 지적 기능 고등학생의 진로 및 진학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