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중·고 학교 관리자의 진로교육에 대한 인식 비교
이용수 145
- 영문명
- Comparison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Administrators Perception of Career Education
- 발행기관
-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 저자명
- 장은미(Chang, Eun Mi) 전주성(Jun, JuSung)
- 간행물 정보
- 『교육과학습: Global Creative Leader』제11권 2호, 169~191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6.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초·중·고 학교급별 학교 관리자의 진로교육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고 비교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교육부와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 시행하는 ‘2019 초·중등 진로교육 현황조사’가운데 ‘학교 관리자용 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대상은 초·중·고 학교급별 400교, 총 1,200개 학교의 교장 또는 교감이다. 자료의 분석을 위해서는 기술통계분석과 교차분석을 이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중·고 학교급별 학교 관리자는 대체로 학교교육에서 진로교육의 중요성과 필요성, 학생의 도전(기업가)정신 함양 및 창업체험교육의 필요성, 그리고 진로교육 정책의 도움에 대해 모두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초·중·고 학교급별 학교 관리자는 진로교육 일반, 학생의 진로개발역량 향상에 진로교육 정책의 도움 정도, 학생의 도전(기업가)정신 함양 및 창업체험교육의 필요성, 학교 내·외 인적자원, 유관기관, 지역네트워크의 협조와 지원 영역에 대하여 대체로 서로 다른 인식을 보였다. 셋째, 초·중·고 학교 진로교육의 활성화를 위해‘진로교육 관련 예산 및 환경 지원’, ‘전문성 있는 인력 확보 및 역량 제고’, ‘진로교육 확대를 위한 교육과정 및 수업 개선’ 등이 우선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nd compare the perception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administrators (principals and vice-principals) on career education. This study utilized the data of the ‘Survey for School Administrators’ among ‘2019 Survey on the Present Statu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Career Education’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The samples of this study were 400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respectively, a total of 1,200 principals or vice principals.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and cross-tabulation analysis were used.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administrators were generally highly aware of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career education in school education, the necessity of cultivating students challenging (entrepreneur) spirit and entrepreneurial experience education, and the help of career education policies. Second, there were generally differences betwee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administrators in importance and necessity of career education, the necessity of cultivating studentschallenging (entrepreneur) spirit and entrepreneurial experience education, and the help of career education policies. Finally, in order to vitalize career education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t is necessary to firstly support ‘budget and environmental support related to career education’, ‘securing professional manpower and enhancing competency’, and ‘improving curriculum and classes for expanding career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우리나라 학교 진로교육의 목표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학생의 창의적 리더십 함양을 위한 ‘창의성을 디자인하는 리더’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대학생의 학습참여와 고효과프로그램 참여가 학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 부모 행복감 구성요인 도출의 탐색 연구
- 고등학교 수학과 수행평가 실시현황 및 평가 기준안 분석 사례연구: 경기도 A시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 초·중·고 학교 관리자의 진로교육에 대한 인식 비교
- 포토보이스를 활용한 밀레니얼 세대 초등교사의 온라인 수업 교사리더십에 관한 인식
- 유튜브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위계적 선형모형을 활용한 중등학교 학교활력 영향요인 탐색
- 교육의 뉴노멀, 초등학교 3~4학년 음악과 블렌디드러닝 실천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지원대상학생 및 장애 학생 교육을 위한 인공지능 활용에 대한 초등교사의 경험
- 읽기장애 조기 진단을 위한 AI 기반 인지진단모형(Cognitive Diagnostic Model) 연구
- 경계선급 지적 기능 고등학생의 진로 및 진학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