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고등학교 수학과 수행평가 실시현황 및 평가 기준안 분석 사례연구: 경기도 A시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이용수 130
- 영문명
- A Case Study on Analyzing the Present Condition of Performance Assessment and Evaluation Criteria of High School: Focused on High School in a City of Gyeonggi-Do
- 발행기관
-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 저자명
- 김홍겸(Kim, Hong-Kyeom)
- 간행물 정보
- 『교육과학습: Global Creative Leader』제11권 2호, 215~242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6.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시행되면서 새로운 평가 패러다임이 등장하면서 수행평가가 다시 주목을 받고 있다. 하지만 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수행평가의 경우 새로운 평가 패러다임을 실현하기에는 조금 부족해 보이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수행평가 평가 기준안에도 많은 문제가 존재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A시의 16개 고등학교 2019학년도 1학년 1학기의 수학과 수행평가 기준안을 분석하고 수학교사들을 인터뷰하여 현재 시행되고 있는 수행평가의 현황 및 평가 기준안이 지니고 있는 문제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수행평가는 지필 형태의 서술형·논술형에 편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수행평가 기준안의 경우 평가요소 간 위계성 미반영 및 평가기준을 모호하게 서술했다는 문제를 관찰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As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as implemented, performance assessments are back in the spotlight as the new evaluation paradigm appeared. However, the reality is that performance assessments at the school sites seem to be a mildly insufficient in fulfilling the new evaluation paradigm. In addition, there are many problems with the evaluation criteria. Therefore, in this study, evaluation criteria for the performance assessments, of 16 high schools in a city of province Gyeonggi-do, were analyzed and an interview with math teachers was performed to look at the current status of conducting performance assessments and some of the problems that the evaluation criteria have.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descriptive discourse assessment was the major type among the different types of performance assessments. In addition, problems of the evaluation criteria for performance assessments were observed showing that the evaluation criteria were vaguely described and hierarchy was not reflected between assessment factor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및 해석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학생의 창의적 리더십 함양을 위한 ‘창의성을 디자인하는 리더’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대학생의 학습참여와 고효과프로그램 참여가 학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 부모 행복감 구성요인 도출의 탐색 연구
- 고등학교 수학과 수행평가 실시현황 및 평가 기준안 분석 사례연구: 경기도 A시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 초·중·고 학교 관리자의 진로교육에 대한 인식 비교
- 포토보이스를 활용한 밀레니얼 세대 초등교사의 온라인 수업 교사리더십에 관한 인식
- 유튜브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위계적 선형모형을 활용한 중등학교 학교활력 영향요인 탐색
- 교육의 뉴노멀, 초등학교 3~4학년 음악과 블렌디드러닝 실천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