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수사와 기소의 분리에 따른 경찰권력의 실효적 통제방안
이용수 364
- 영문명
- Effective Control of Police Power due to Separation of Investigation and Prosecution
- 발행기관
- 대구과학대학교 국방안보연구소
- 저자명
- 김기갑(Ki-Kab Kim)
- 간행물 정보
- 『사회융합연구』제5권 제1호, 13~20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2.28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역대 정부에서 권력기관 특히 검찰을 개혁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해왔지만 , 검찰조직의 강력한 반발로 번번이 실패하였다. 문재인 정부 들어 수사권 조정을 위한 형사소송법과 검찰청법이 2020년 초에 국회를 통과하였고,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이 2020년 말에 국회를 통과하였다. 이로써 일정 부분 무소불위 검찰의 권한을 분산시켰지만 여전히 우리나라의 검찰은 각종 영장청구권을 독점적으로 보유하고 있고, 기소권 등을 행사하고 있다. 이제 영미법계 국가들처럼 수사와 기소의 완전한 분리를 통해 인권침해를 방지하고 실체적 진실발견에 좀 더 다가서야 하는 또 다른 과제가 우리 앞에 놓여 있다. 수사와 기소의 분리가 완전한 검찰개혁이요, 동시에 선진적인 형사사법시스템의 완성이기 때문이다. 양자의 분리가 가져올경찰권력에 대한 통제는 자치경찰제와 국가수사본부의 설치, 경찰옴부즈맨, 경찰 내부의 통제방안으로 달성할 수 있다.
영문 초록
Although the previous government has made efforts to reform the power institutions, especially the prosecution, it has failed repeatedly due to strong opposition from the prosecution organization. Moon Jae-in government passed the Criminal Procedure Act and the Prosecutors Office Act in early 2020, and the Act on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the Criminal Investigation Department of High-ranking Public Officials passed the National Assembly at the end of 2020. As a result, some of the authority of the prosecution has been dispersed, but the prosecution of Korea still has exclusive rights to claim various warrants and exercises the right to prosecute. Now, like the Anglo-American law countries, another task is in front of us to prevent human rights violations and to get closer to the discovery of substantive truths through complete separation of investigation and prosecution. The separation of investigation and prosecution is a complete prosecution reform, and at the same time, the completion of an advanced criminal justice system. The control of the police power brought by the separation of the two can be achieved by the self-governing police system, the establishment of the National Investigation Headquarters, ombudsman and the control plan inside the police.
목차
Ⅰ. 서론
Ⅱ. 수사와 기소의 분리에 관한 비교 법적 고찰
Ⅲ. 수사와 기소 분리의 타당성
Ⅳ. 수사와 기소 분리의 적정 모델 및 경찰에 대한 통제방안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지방공무원이 지각하는 인사공정성이 조직몰입과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 초기 혈액투석 환자의 질병인식, 자가간호수행 및 혈액투석 불이행의 관계*
- 체력향상 및 불안감소를 위한 이러닝 중심 운동실기교육 사례분석
- Integrated Smart Attendance System for English Learning Care
- 기업혁신이 수출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PSM 방법
- 성인의 진로결정자율성과 정서지능이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 발달장애인의 지역사회 지원 체계 구축을 위한 탐색적 고찰
- 국가의와 국방R&D의 연계·협력 강화방안 연구
- 수사와 기소의 분리에 따른 경찰권력의 실효적 통제방안
- 웹기반 Q분류 시스템 개발과 타당화 연구
- 중년 여성의 상지 근 통증에 대한 자기장 치료가 건강요소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A Study on the Effecting Factors of Child Development: Focusing on Mother s Employment and Social Capitals
- IPA 기법을 활용한 과학기술전문사관의 중요도-만족도 분석
- 자치경찰제 평가지표 구축에 관한 연구
- 대학교 융합전공 발전방안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AI의 젠더 편향에 대한 비판적 교수학습 전략 사례 연구 - 챗GPT를 활용한 여성학 교양강의 과제 분석을 중심으로
- 고전읽기 강좌 수강생의 역량 변화와 인지욕구 수준에 따른 차이 탐색
- 교양 마이크로디그리 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 K대학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