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발달장애인의 지역사회 지원 체계 구축을 위한 탐색적 고찰
이용수 494
- 영문명
- An Exploratory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Community Support Systems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발행기관
- 대구과학대학교 국방안보연구소
- 저자명
- 박주홍(Ju-Hong Park) 김남숙(Nam-Sook Kim) 김보름(Bo-Reum Kim)
- 간행물 정보
- 『사회융합연구』제5권 제1호, 119~133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2.28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장애인 지역사회 지원 체계 구축 기반조성을 위한 기초적 단초를 제공하는데 있으며, 이를 통해 단순 사회참여(integration)가 아닌 포용적 사회(inclusion) 실현에 기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20년 11월 3일부터 19일까지 총 3회에 걸쳐 발달장애인 관련 학계 및 현장 전문가 14인을 대상으로 초점집단면접(Focus Group Interview, FGI)을 실시하였다. 초점집단면접을 통해 수집된 자료는 지속적 비교분석법(constant comparative analysis)으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절대적 서비스 부족으로 인한 시스템 혼란’을 포함한 7개의 상위범주와 ‘주거(유형)의 공급다변화’를 포함한 20개의 하위범주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발달장애인이 지역사회의 일원으로 존중받으며 살아갈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함의를 지역사회 서비스체계, 조기발견, 직업, 주거, 의사결정지원제도, 지역사회 통합돌봄, ICT 지원 등 7가지 영역에서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foundation for establishing a community support systems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ich aims to contribute to the realization of an inclusive society rather than an integration society. To achieve this, three Focus Group Interviews (FGI) were conducted for 14 experts in academia and field related to developmental disabilities from November 3 to 19, 2020.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continuous comparative analysis. As a result, 7 upper categories including disruption of service due to absolute service shortage and 20 subcategories including diversification of housing(type) supply’ were derived. Based on the results, the implications for supporting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live with respect as members of the community were presented in 7 areas: community service system, early detection, occupation, dwelling, supported decision making schemes, community care, and ICT support.
목차
Ⅰ. 서론
Ⅱ. 발달장애를 둘러싼 사회 변화
Ⅲ. 연구 설계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함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지방공무원이 지각하는 인사공정성이 조직몰입과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 초기 혈액투석 환자의 질병인식, 자가간호수행 및 혈액투석 불이행의 관계*
- 체력향상 및 불안감소를 위한 이러닝 중심 운동실기교육 사례분석
- Integrated Smart Attendance System for English Learning Care
- 기업혁신이 수출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PSM 방법
- 성인의 진로결정자율성과 정서지능이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 발달장애인의 지역사회 지원 체계 구축을 위한 탐색적 고찰
- 국가의와 국방R&D의 연계·협력 강화방안 연구
- 수사와 기소의 분리에 따른 경찰권력의 실효적 통제방안
- 웹기반 Q분류 시스템 개발과 타당화 연구
- 중년 여성의 상지 근 통증에 대한 자기장 치료가 건강요소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A Study on the Effecting Factors of Child Development: Focusing on Mother s Employment and Social Capitals
- IPA 기법을 활용한 과학기술전문사관의 중요도-만족도 분석
- 자치경찰제 평가지표 구축에 관한 연구
- 대학교 융합전공 발전방안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AI의 젠더 편향에 대한 비판적 교수학습 전략 사례 연구 - 챗GPT를 활용한 여성학 교양강의 과제 분석을 중심으로
- 고전읽기 강좌 수강생의 역량 변화와 인지욕구 수준에 따른 차이 탐색
- 교양 마이크로디그리 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 K대학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