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성인의 진로결정자율성과 정서지능이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366
- 영문명
- The Influence of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and Emotional Intelligence on Career Adaptability of Adult*
- 발행기관
- 대구과학대학교 국방안보연구소
- 저자명
- 성현승(Hyun-Seong Sung) 김현숙(Hyun-Sook Kim)
- 간행물 정보
- 『사회융합연구』제5권 제1호, 49~63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2.28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진로결정자율성과 정서지능이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고, 남녀별로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 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성인 193명(남자 127명, 여자 66)을 대상으로 인터넷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한 설문지를 토대로 상관분석 및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진로결정자율성과 정서지능의 하위변인이 진로적응성에 끼치는 영향력은 정서활용, 내적 조절, 자기정서이해, 확인적 조절, 부과된 요인 순서로 나타났다. 둘째, 남녀별로 진로적응성에 대한 진로결정자율성과 정서지능의 하위변인들의 영향력을 살펴보았을 때, 남자는 정서활용, 내적 조절, 확인된 조절 순서로 나타났고, 여자는 정서활용, 자기정서이해 순서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통해 진로결정자율성과 정서변인에 있어 진로적응의 계발에 우선적으로 초점을 맞춰야 하는 하위요소들에 대해 논하였으며, 성별에 따라 차별적인 개입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relative influence of the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and emotional intelligence on the career adaptability of adults, .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93(male: 127, female: 66) adults sampled an online survey. F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were utili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influence of the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and emotional intelligence by sub-factors on the career adaptability was identified in order of the use of emotion, the intrinsic motivation and the self-emotion appraisal. Second, by the gender, for male, the influence of those was identified in order of the utilization of emotion, the intrinsic motivation and the identified regulation.. For female, the influence of those was identified in order of the use of emotion and the self-emotion appraisal. This results showed that which sub-factors of motivation and emotion should be focused first for career adaptation. And by gender, different interventions should be provided for career adaptation from a motive and emotional point of view.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지방공무원이 지각하는 인사공정성이 조직몰입과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 초기 혈액투석 환자의 질병인식, 자가간호수행 및 혈액투석 불이행의 관계*
- 체력향상 및 불안감소를 위한 이러닝 중심 운동실기교육 사례분석
- Integrated Smart Attendance System for English Learning Care
- 기업혁신이 수출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PSM 방법
- 성인의 진로결정자율성과 정서지능이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 발달장애인의 지역사회 지원 체계 구축을 위한 탐색적 고찰
- 국가의와 국방R&D의 연계·협력 강화방안 연구
- 수사와 기소의 분리에 따른 경찰권력의 실효적 통제방안
- 웹기반 Q분류 시스템 개발과 타당화 연구
- 중년 여성의 상지 근 통증에 대한 자기장 치료가 건강요소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A Study on the Effecting Factors of Child Development: Focusing on Mother s Employment and Social Capitals
- IPA 기법을 활용한 과학기술전문사관의 중요도-만족도 분석
- 자치경찰제 평가지표 구축에 관한 연구
- 대학교 융합전공 발전방안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AI의 젠더 편향에 대한 비판적 교수학습 전략 사례 연구 - 챗GPT를 활용한 여성학 교양강의 과제 분석을 중심으로
- 고전읽기 강좌 수강생의 역량 변화와 인지욕구 수준에 따른 차이 탐색
- 교양 마이크로디그리 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 K대학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