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교 융합전공 발전방안 연구
이용수 1,111
- 영문명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onvergence Major in University
- 발행기관
- 대구과학대학교 국방안보연구소
- 저자명
- 김정진(Jung-Jin Kim)
- 간행물 정보
- 『사회융합연구』제5권 제1호, 21~31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2.28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교 융합전공의 발전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대학교 재학생 명을 대상으로 융합전공 요구조사를 실시해 분석하고 대학교의 융합전공 운영사례를 분석하였다 이후 시사점을 도출하고 융합전공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대학교 융합전공 발전방안은 첫째 대학교에서 혼용해서 사용하고 있는 연계전공과 융합전공의 통합이다 둘째 융합전공의 학위수여 개선이다 셋째 대학생 취창업을 지원하는 ․ 맞춤형 융합전공 활성화이다 넷째 융합전공에 대한 체계적인 정보제공과 홍보를 통한 대학생 인식개선이다 다섯째 융합전공의 체계적인 규정제정 필요성이다 연구결과를 통해 산학연계를 통한 융합전공 활성화 마이크로전공 개설을 통한 융합전공 다양화 를 활용한 융합교과목 개설이 논의되었다 후속연구 제언으로는 융합전공 이수자의 학습과정과 학습경험 질적 사례연구 산학연계 융합전공의 개설방안에 대한 연구 국외대학교 융합전공의 사례분석을 통한 융합전공 발전방안 대학교 융합전공의 비교연구를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uggests how to develop university convergence majors. A survey was conducted on 248 students of A University to achieve their research objectives. And the university s convergence major operation case was analyzed. Since then, has proposed a plan for developing convergence major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the integration of linked majors and convergence majors used by universities. Second, improve the way award a degree in convergence major. Third, it is a customized convergence major that supports college students employment and start-up. Fourth, it is to improve the perception of university students through systematic information provision and promotion of convergence majors. Fifth,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systematic convergence major regulations. Discussions through research results included activation of convergence majors through industry-academic linkage, diversification of convergence majors through micro-major opening, and the opening of convergence subjects using K-MOOC.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과 절차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지방공무원이 지각하는 인사공정성이 조직몰입과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 초기 혈액투석 환자의 질병인식, 자가간호수행 및 혈액투석 불이행의 관계*
- 체력향상 및 불안감소를 위한 이러닝 중심 운동실기교육 사례분석
- Integrated Smart Attendance System for English Learning Care
- 기업혁신이 수출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PSM 방법
- 성인의 진로결정자율성과 정서지능이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 발달장애인의 지역사회 지원 체계 구축을 위한 탐색적 고찰
- 국가의와 국방R&D의 연계·협력 강화방안 연구
- 수사와 기소의 분리에 따른 경찰권력의 실효적 통제방안
- 웹기반 Q분류 시스템 개발과 타당화 연구
- 중년 여성의 상지 근 통증에 대한 자기장 치료가 건강요소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A Study on the Effecting Factors of Child Development: Focusing on Mother s Employment and Social Capitals
- IPA 기법을 활용한 과학기술전문사관의 중요도-만족도 분석
- 자치경찰제 평가지표 구축에 관한 연구
- 대학교 융합전공 발전방안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AI의 젠더 편향에 대한 비판적 교수학습 전략 사례 연구 - 챗GPT를 활용한 여성학 교양강의 과제 분석을 중심으로
- 고전읽기 강좌 수강생의 역량 변화와 인지욕구 수준에 따른 차이 탐색
- 교양 마이크로디그리 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 K대학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