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체력향상 및 불안감소를 위한 이러닝 중심 운동실기교육 사례분석
이용수 91
- 영문명
- A Case Analysis of E-Learning-Based Practical Exercise Education for Fitness Improvement and Anxiety Relief: Focused on the Leader of the Sports Health College Admission
- 발행기관
- 대구과학대학교 국방안보연구소
- 저자명
- 조경환(Kyong-Hwan Cho)
- 간행물 정보
- 『사회융합연구』제5권 제1호, 185~197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2.28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운동실기교육의 원리를 이해하고 이러닝 교육프로그램을 학습하여 지도자와 학습자의 상호 긴밀한 소통을 통해 Forward를 개선시켜 입시생들의 신체기능의 향상과 불안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경기도 A시에 소재하는 스포츠 건강계열 입시교육원에서 입시생들을 전문적으로 지도하고 있는 체육지도와 관련한 자격증을 소지한 지도자 4명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연역적 연구가 아닌 질적 연구로 연구내용의 비일관성을 구별하여 범주화 및 단일화, 핵심주제를 키워드와 그 내용들을 추가시키는 귀납적인 형태의 연구이다. 근력 강화, 유산소, 코어, 스트레칭의 운동실기교육을 실시한 후 동영상을 제작하여 가정에 있는 학생들에게 내용을 배포한 후, 심층면담 분석을 통해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이러닝 중심 운동실기교육의 내용은 학습자의 체력상태와 각자 주어진 상황에 맞게 재구성화 하는 과정이 반드시 필요하고 지속적이고 점진적인 형태의 교육내용의 재구성과 연구가 요구된다. 또한 이러닝 중심 운동실기교육의 교수 학습방법은 학습자와 지도자간의 긴밀한 상호 협조를 통해 학습자의 의견들을 적극적으로 반영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principles of practical exercise education, learn an e-learning training program, improve Forward through close mutual communication between the leader and learners, and improve the physical functions and relieve anxiety effectively among examinees. Four instructors were participated and they have certifications related to physical education and professionally instruct students at the sports health-related entrance examination training center located in A-city of Gyeonggi-do. This study is qualitative research based on inductive reasoning,which distinguishes inconsistency in the contents, involves categorization and unification, and adds key words and themes and their contents, not on deductive reasoning. practical exercise education, which involved muscle strengthening, core, and stretching, was performed and relevant videos were manufactured and distributed to students at home. Research results then were derived through in-depth interviewanalysis. In conclusion, The contents of e-learning practical exercise education require the process of adaptation to learners fitness status and the given situation, and constant and gradual types of teaching content reconstruction and research are required. In addition, efforts should bemade to have the teaching-learningmethods of e-learning practical exercise education positively reflect learners opinions through closemutual cooperation between the learner and the leader.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이러닝 중심 운동실기교육의 환경변화의 특성
Ⅳ. 이러닝 중심 운동실기교육의 사례
Ⅴ. 이러닝 중심 운동실기교육의 교육적 효과 분석
Ⅵ. 결론 및 제안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지방공무원이 지각하는 인사공정성이 조직몰입과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 초기 혈액투석 환자의 질병인식, 자가간호수행 및 혈액투석 불이행의 관계*
- 체력향상 및 불안감소를 위한 이러닝 중심 운동실기교육 사례분석
- Integrated Smart Attendance System for English Learning Care
- 기업혁신이 수출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PSM 방법
- 성인의 진로결정자율성과 정서지능이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 발달장애인의 지역사회 지원 체계 구축을 위한 탐색적 고찰
- 국가의와 국방R&D의 연계·협력 강화방안 연구
- 수사와 기소의 분리에 따른 경찰권력의 실효적 통제방안
- 웹기반 Q분류 시스템 개발과 타당화 연구
- 중년 여성의 상지 근 통증에 대한 자기장 치료가 건강요소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A Study on the Effecting Factors of Child Development: Focusing on Mother s Employment and Social Capitals
- IPA 기법을 활용한 과학기술전문사관의 중요도-만족도 분석
- 자치경찰제 평가지표 구축에 관한 연구
- 대학교 융합전공 발전방안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AI의 젠더 편향에 대한 비판적 교수학습 전략 사례 연구 - 챗GPT를 활용한 여성학 교양강의 과제 분석을 중심으로
- 고전읽기 강좌 수강생의 역량 변화와 인지욕구 수준에 따른 차이 탐색
- 교양 마이크로디그리 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 K대학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