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linical Characteristics of Corneal Hyperalgesia in Patients with Dry Eye Symptoms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김태훈(Tae Hun Kim) 한경은(Kyung Eun Han)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62,number1, 21~28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1.15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건성안 증상을 가지는 환자 중 각막 통각에 과민한 환자 환자들의 임상양상을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건성안 증상으로 내원한 20세 이상 성인 69명(69안)을 대상으로 하였다. Cochet-Bonnet 촉각측정계를 이용하여 통각 수치가 40 mm 이상인 군은 통각과민군, 40 mm 미만인 경우는 대조군으로 정하였다. 모든 환자는 세극등검사, 눈물막파괴시간, 눈물 분비 정도, 마이봄샘 촬영술과 눈물지질층두께, 눈 깜박임 패턴, 안구표면질환지수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눈 깜박임 패턴은 안정형, 상승형, 하강형, 혼합형의 4가지 유형으로 나누었으며, 부분 눈 깜박임의 비율을 기록하였다.
결과: 통각과민군 38명과 대조군 31명을 비교하였을 때 각막 통각 정도는 통각과민군이 51.18 ± 7.66 mm, 대조군은 21.61 ± 9.25 mm이며, 지각 정도는 통각과민군(59.21 ± 1.85 mm)이 대조군(54.84 ± 10.12 mm)보다 높았다(p=0.048). 눈물막파괴시간검사는 통각 과민군(3.47 ± 0.80초)에서 대조군(4.10 ± 1.16초)에 비하여 유의하게 짧았다(p=0.036). 눈 깜박임 패턴은 두 군 간에 유형의 비율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023), 통각과민군에서는 상승형이 35.1% 안정형은 32.4%, 대조군에서는 하강형이 43.3%로 나타났다. 이외의 검사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못하였다.
결론: 건성안 환자 중 각막 통각과민이 있는 환자의 경우 눈물막파괴시간이 대조군에 비해 짧으며, 눈 깜박임 패턴의 유형의 비율이 달랐다.
<대한안과학회지 2021;62(1):22-28>
영문 초록
Purpose: We analyzed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corneal hyperalgesia patients with dry eye symptoms.
Methods: Sixty-nine eyes of 69 adults (aged ≥ 20 years) who visited the hospital due to dry eye symptoms were analyzed. Using a Cochet-Bonnet esthesiometer, patients with ≥ 40 mm corneal sensitivity were designated as the corneal hyperalgesia group, and those with < 40 mm were designated as the control group. All patients were tested by slit lamp biomicroscopy. The tear film break-up time (TFBUT), tear secretion, meibography, tear lipid layer thickness, eye blink pattern and Ocular Surface Disease Index were assessed. The eye blink pattern was divided into four types, flat, uphill, downhill, and mixed, and the rate of partial eye blink was recorded.
Results: We compared the 38 eyes in the corneal hyperalgesia group with the 31 eyes in the control group. The pain sensitivity was 51.18 ± 7.66 and 21.61 ± 9.25 mm in the corneal hyperalgesia and control groups, respectively. Tactile sensitivity was higher in the hyperalgesia group (59.21 ± 1.85 mm) than the control group (54.84 ± 10.12 mm) (p = 0.048), and the TFBUT in the hyperalgesia group (3.47 ± 0.80 seconds) was significantly shorter than the control group (4.10 ± 1.16 seconds) (p = 0.036).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oportions of the four eye blink patterns between the hyperalgesia and control groups (p = 0.023). In the hyperalgesia group, 35.1% were uphill types and 32.4% were flat types, while in the control group, 43.8% were downhill types. The other tests showed no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Conclusions: The TFBUT was shorter in patients with dry eye symptoms than controls, and the proportions of the four eye blink patterns also differed between the groups.
J Korean Ophthalmol Soc 2021;62(1):21-28
목차
대상과 방법
결과
고찰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비대칭 눈썹을 가진 노년 상안검 안검하수 환자에서 안검하수수술 후눈썹의 위치 변화
- 항진균제 다제 투여로 치료한 Pseudallescheria boydii 괴사성 공막염
- 국내 2형 당뇨병 환자에서 실명 위험 당뇨망막병증의 미래 치료 비용 연구
- 나이와 크기에 따른 콩다래끼 병소 내 스테로이드 국소주사의 치료 효과 비교
- 청색광에 의한 제브라피쉬의 안구 변화 및포도씨 유래 폴리페놀 화합물의 보호 효과
- 비강내 코중격 트리암시놀론 주사 후 발생한 눈동맥분지의 다발성 폐쇄 1예
- 진행하는 군날개 유사 병변을 동반한 소아 색소건피증
- 이전 이식편 후부각막실질 전체가 남은 상태에서 시행된 이차 데스메막박리내피각막이식술
- 스테로이드유발녹내장에서 녹내장 수술적 치료의 위험인자
- 거짓비늘증후군과 급성폐쇄각발작의 생체계측 특성 비교
- 건강검진 자료를 이용한 나이관련황반변성의 위험인자 분석
- 분자유전검사로 확진된 상염색체 우성 드루젠
- 운동장애를 동반한 재발군날개에서 자가윤부결막이식술 후안구운동진폭 변화
- 각막이식 실패를 초래하는 고위험군에 대한 조사
- 국내에서 상품화된 안검 온열 안대의 안검 가열 효과 비교
- 습성 나이관련황반변성 환자에서 유리체강내 항혈관내피성장인자항체 주사 치료 후 읽기 속도 변화
- 건성안 증상을 가지는 환자들에서 각막 통각과민 환자의 임상양상
- 압박시신경병증으로 발견된 뇌동맥류
- 로봇을 이용한 겨드랑이경유 갑상선전절제술 후 발생한 의인성 호너증후군
- 상공막 모세혈관종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역사학분야 NEW
- 급성폐쇄각녹내장에서 시신경유두부종의 위험인자 분석
- 간헐외사시에서 속발내사시 예방목적의 내외직근 동시 후전: 탐색적 증례군 연구
- 아메드밸브삽입술 후 맥락막박리 및 전방소실의 위험인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