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건강검진 자료를 이용한 나이관련황반변성의 위험인자 분석
이용수 42
- 영문명
- Analyses of Risk Factors of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Using Routine Health Check-up Data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한동균(Dong Kyun Han) 김홍규(Hong Kyu Kim)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62,number1, 46~54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1.15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건강검진 자료를 분석하여 나이관련황반변성의 위험인자를 찾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17년 1월부터 12월까지 1년 동안 한국의 지역사회 단일기관의 건강검진 센터에서 건강검진을 시행한 40세 이상의 성인 9,019명 중 안저사진촬영을 시행하지 않았거나 검사영상의 질이 좋지 않아 판독이 부정확한 2,001명을 제외한 성인 7,018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결과: 총 7,018명의 40세 이상인 성인 중 나이관련황반변성이 발견된 환자는 183명이었고 이 중 초기가 104명, 중기 75명, 후기 4명이 었다. 대조군과 나이관련황반변성 세 군, 총 네 군은 일원배치 분산분석상 그룹 간 유의한 나이 차이를 보였다. 성향점수 매칭으로 나이와 성별을 보정한 후 나이관련황반변성이 환자군과 대조군 사이에 혈압, 체질량지수, 몸무게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B형간염 표면항원, 알카라인 포스파타제, 혈소판, 적혈구 침강률, 감마 글루타밀전이효소, 고밀도지단백, 암배아항원, C반응단백, 음주, 흡연, 운동 여부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관련성을 보인 인자를 이용하여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B형간염 표면항원이 양성 이고, C반응단백, 고밀도지단백, 암배아항원 수치가 상승했으며, 운동을 하지 않고, 현재 흡연을 하는 사람에게 나이관련황반변성의 위험성이 높았다.
결론: 본 연구는 건강검진 자료를 이용하여 나이관련황반변성의 위험인자를 분석했고 혈액검사상 B형간염 표면항원의 양성, 상승된 C반응단백, 고밀도지단백, 암배아항원 수치, 운동의 결핍, 현재의 흡연에 위험성이 커진다.
<대한안과학회지 2021;62(1):46-54>
영문 초록
Purpose: To investigate risk factors of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AMD) with routine health check-up data.
Methods: Among 9,019 patients older than 40 years who underwent a routine health checkup at a single institution of South Korea from January to December 2017, 7,018 patients were enrolled in this retrospective study. An additional 2,001 patients were accepted, due to the absence of a fundus photo or having a fundus photo of poor quality.
Results: Among 7,018 patients, 183 patients were diagnosed with AMD. We diagnosed 104 patients with early-phase, 75 patients with intermediate-phase, and 4 patients with late-phase AMD. The AMD groups were compared to a control group using one-way analysis of variance. The control, early, and intermediate groups showed meaningful differences with respect to age. In propensity score matching for age and sex, no differences were observed with respect to blood pressure, body mass index, or weight; however,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evident for the parameters of hepatitis B surface antigen, alkaline phosphatase, platelet,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gamma glutamyl transferase, high density lipoprotein (HDL), carcinoembryonic antigen (CEA), C-reactive protein (CRP), status of exercise, drinking, and smoking between the control and AMD groups. In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ith relevant factors, a strong positive relationship was established for hepatitis B surface antigen, HDL, CRP and CEA elevation, absence of exercise, and current smoking in AMD patients.
Conclusions: Risk for AMD was strongly correlated with hepatitis B surface antigen, elevation of HDL, CEA and CRP in blood tests, the absence of exercise, and a history of smoking.
J Korean Ophthalmol Soc 2021;62(1):46-54
목차
대상과 방법
결과
고찰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나이와 크기에 따른 콩다래끼 병소 내 스테로이드 국소주사의 치료 효과 비교
- 청색광에 의한 제브라피쉬의 안구 변화 및포도씨 유래 폴리페놀 화합물의 보호 효과
- 거짓비늘증후군과 급성폐쇄각발작의 생체계측 특성 비교
- 분자유전검사로 확진된 상염색체 우성 드루젠
- 항진균제 다제 투여로 치료한 Pseudallescheria boydii 괴사성 공막염
- 각막이식 실패를 초래하는 고위험군에 대한 조사
- 습성 나이관련황반변성 환자에서 유리체강내 항혈관내피성장인자항체 주사 치료 후 읽기 속도 변화
- 압박시신경병증으로 발견된 뇌동맥류
- 운동장애를 동반한 재발군날개에서 자가윤부결막이식술 후안구운동진폭 변화
- 로봇을 이용한 겨드랑이경유 갑상선전절제술 후 발생한 의인성 호너증후군
- 건성안 증상을 가지는 환자들에서 각막 통각과민 환자의 임상양상
- 국내에서 상품화된 안검 온열 안대의 안검 가열 효과 비교
- 상공막 모세혈관종
- 국내 2형 당뇨병 환자에서 실명 위험 당뇨망막병증의 미래 치료 비용 연구
- 스테로이드유발녹내장에서 녹내장 수술적 치료의 위험인자
- 비강내 코중격 트리암시놀론 주사 후 발생한 눈동맥분지의 다발성 폐쇄 1예
- 비대칭 눈썹을 가진 노년 상안검 안검하수 환자에서 안검하수수술 후눈썹의 위치 변화
- 이전 이식편 후부각막실질 전체가 남은 상태에서 시행된 이차 데스메막박리내피각막이식술
- 건강검진 자료를 이용한 나이관련황반변성의 위험인자 분석
- 진행하는 군날개 유사 병변을 동반한 소아 색소건피증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