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나이와 크기에 따른 콩다래끼 병소 내 스테로이드 국소주사의 치료 효과 비교
이용수 5
- 영문명
- Comparison of Intralesional Triamcinolone Acetonide Injection Efficacy for Chalazion According to Age and Lesion Size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송도윤(Do Yun Song) 노주헌(Joo Heon Roh)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62,number1, 1~5쪽, 전체 5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1.15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나이와 크기에 따른 콩다래끼 병소 내에 시행한 스테로이드 국소주사의 효과에 대하여 비교 연구해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17년 1월부터 2018년 2월까지 본원에서 콩다래끼로 진단 받고 스테로이드 국소 주입술을 시행 받은 10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를 나이 및 병소의 크기에 따라 세 군으로 나누어 다래끼 크기에 따라 사용한 약제의 치료 성공률, 합병증 등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전체 108병소의 콩다래끼 치료 누적 성공률은 1회 주사로 69.4%, 2회 주사로 80.6%였으며, 2회 주사까지 고려한 7세 미만의 환자 30병소, 7세 이상 17세 미만의 22병소, 17세 이상의 56병소에서 각각 누적성공률은 86.7%, 81.8%, 76.8%였다. 콩다래끼 병소의 지름 10 mm 미만 27병소, 10 mm 이상 15 mm 미만 70병소, 15 mm 이상 20 mm 미만 11병소에서 누적성공률을 보면 85.2%, 80%, 72.7%로 각각 확인되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결론: 콩다래끼의 치료에 있어서 스테로이드 국소주사는 매우 유용하며 특히 나이가 어릴수록, 크기가 작을수록 치료 효과가 좋다.
<대한안과학회지 2021;62(1):1-5>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icacy of intralesional triamcinolone acetonide injection in the treatment of chalazion according to age and size of the lesion.
Methods: We performed a retrospective chart review of 108 patients (108 lesions) who underwent intralesional triamcinolone acetonide injections between January 2017 and February 2018. Patie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ir age and size of the lesion and evaluated with respect to the treatment success and complications.
Results: Cumulative treatment success of intralesional triamcinolone acetonide injection was 69.4% with the first injection and 80.6% with the second injection in 108 lesions. With respect to age, 30 lesions were observed in patients under the age of 7 years, 22 lesions were found in patients aged 7 to 16 years, and 56 lesions were observed in patients who were 17 years or older; cumulative treatment success percentages with second injections were 86.7%, 81.8%, and 76.8% respectively. Twenty-seven lesions were under 10 mm in size, 70 lesions ranged from 10 to 15 mm, and 11 lesions were sized 16 to 20 mm; cumulative treatment success percentages were 85.2%, 80%, and 72.7% respectively. Although the result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s: Intralesional triamcinolone acetonide injection in chalazion is more effective for smaller lesions and younger pediatric patients.
J Korean Ophthalmol Soc 2021;62(1):1-5
목차
대상과 방법
결과
고찰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나이와 크기에 따른 콩다래끼 병소 내 스테로이드 국소주사의 치료 효과 비교
- 청색광에 의한 제브라피쉬의 안구 변화 및포도씨 유래 폴리페놀 화합물의 보호 효과
- 거짓비늘증후군과 급성폐쇄각발작의 생체계측 특성 비교
- 분자유전검사로 확진된 상염색체 우성 드루젠
- 항진균제 다제 투여로 치료한 Pseudallescheria boydii 괴사성 공막염
- 각막이식 실패를 초래하는 고위험군에 대한 조사
- 습성 나이관련황반변성 환자에서 유리체강내 항혈관내피성장인자항체 주사 치료 후 읽기 속도 변화
- 압박시신경병증으로 발견된 뇌동맥류
- 운동장애를 동반한 재발군날개에서 자가윤부결막이식술 후안구운동진폭 변화
- 로봇을 이용한 겨드랑이경유 갑상선전절제술 후 발생한 의인성 호너증후군
- 건성안 증상을 가지는 환자들에서 각막 통각과민 환자의 임상양상
- 국내에서 상품화된 안검 온열 안대의 안검 가열 효과 비교
- 상공막 모세혈관종
- 국내 2형 당뇨병 환자에서 실명 위험 당뇨망막병증의 미래 치료 비용 연구
- 스테로이드유발녹내장에서 녹내장 수술적 치료의 위험인자
- 비강내 코중격 트리암시놀론 주사 후 발생한 눈동맥분지의 다발성 폐쇄 1예
- 비대칭 눈썹을 가진 노년 상안검 안검하수 환자에서 안검하수수술 후눈썹의 위치 변화
- 이전 이식편 후부각막실질 전체가 남은 상태에서 시행된 이차 데스메막박리내피각막이식술
- 건강검진 자료를 이용한 나이관련황반변성의 위험인자 분석
- 진행하는 군날개 유사 병변을 동반한 소아 색소건피증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