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각막이식 실패를 초래하는 고위험군에 대한 조사
이용수 14
- 영문명
- Patients at High Risk for Failure of Penetrating Keratoplasty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권혜지(Hye Ji Kwon) 정호석(Ho Seok Chung) 이용민(Yong Min Lee) 김영준(Young Jun Kim) 고병이(Byung-Yi Ko) 김현승(Hyun Seung Kim) 정태영(Tae-Young Chung) 현준영(Joon Young Hyon) 차흥원(Hungwon Tchah)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62,number1, 12~20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1.15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각막이식 실패를 초래하는 고위험군에서 임상 양상 및 원인 질환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19년 4월부터 2020년 4월까지 국내 5개 병원에 내원한 각막이식 실패를 초래하는 고위험군 104명 119안을 대상으로 원인 질환 및 임상적 특성에 대해 후향적 의무기록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환자의 71.4%가 남자였으며, 원인 질환으로 단순포진각막염이 26.1%로 가장 많았다. 양안 시력이 불량한 경우(양안 시력 모두 안전수지 이하)의 원인으로 스티븐스-존슨 증후군/독성표피괴사용해와 화학화상이 각각 41.7%와 19.4%를 차지했다. 각막이식의 과거 력이 3회 이상인 경우는 20.2%였으며 이전 각막이식 과거력의 평균 횟수는 1.02 ± 1.46회였다. 각막혈관신생과 각막혼탁이 존재한 경우는 각각 82.4%와 92.4%였다. 각막신생혈관 정도 및 각막혼탁 정도가 심할수록 대상안의 분포 비율이 높았으며 각막신생혈관의 경우 가장 높은 2점이 47.9%, 각막혼탁의 경우 가장 높은 4점이 31.9%를 차지했다.
결론: 각막이식 실패를 초래하는 고위험군에 대한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각막이식의 예후가 불량한 원인 질환에 대한 이해가 가능하다. 해당 질환에 대한 보다 주의 깊은 관찰과 적극적인 치료로 각막이식 성공률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연속적인 각막이식 실패 방지를 위해 각막이식의 대안으로 가능한 새로운 치료법에 대한 추후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각막이식 여부 결정과 술 후 예후 예측에 도움이 되겠으며 추후 연구에 참고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대한안과학회지 2021;62(1):12-20>
영문 초록
Purpose: We report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the primary underlying diseases of patients at high risk for failure of penetrating keratoplasty (PKP) in Korea.
Methods: Patients at high risk of PKP failure among those who visited the ophthalmological clinics of tertiary care hospitals in Korea from April 2019 to April 2020 and who were indicated for PKP were retrospectively enrolled. We epidemiologically investigated 119 eyes of 104 patients via medical chart review.
Results: Herpes simplex virus (HSV) keratitis was the most common primary underlying disease (26.1%). The most common primary cause of poor bilateral visual acuity was Stevens-Johnson syndrome/toxic epidermal necrolysis (SJS/TEN) (41.7%) followed by chemical burns (19.4%). Of the 119 eyes, 40.3% had a history of previous PKP and 20.2% had undergone three or more PKP. The average number of prior PKPs was 1.02 ± 1.46. Corneal neovascularization and corneal opacity were reported in 82.4 and 92.4% of cases, respectively. As the severity of these conditions increased, the eye distributions became larger. Of all patients, 47.9 and 31.9%, respectively, received the highest corneal neovascularization and corneal opacity scores.
Conclusions: Our study of patients at high risk of PKP failure improves our understanding of the relevant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primary underlying diseases. Such patients require careful observation and aggressive treatment. Possible alternatives to PKP should be considered if PKP consistently fails. This study will aid clinicians in deciding whether to proceed to surgery if a poor postoperative prognosis is predictable.
J Korean Ophthalmol Soc 2021;62(1):12-20
목차
대상과 방법
결과
고찰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나이와 크기에 따른 콩다래끼 병소 내 스테로이드 국소주사의 치료 효과 비교
- 청색광에 의한 제브라피쉬의 안구 변화 및포도씨 유래 폴리페놀 화합물의 보호 효과
- 거짓비늘증후군과 급성폐쇄각발작의 생체계측 특성 비교
- 분자유전검사로 확진된 상염색체 우성 드루젠
- 항진균제 다제 투여로 치료한 Pseudallescheria boydii 괴사성 공막염
- 각막이식 실패를 초래하는 고위험군에 대한 조사
- 습성 나이관련황반변성 환자에서 유리체강내 항혈관내피성장인자항체 주사 치료 후 읽기 속도 변화
- 압박시신경병증으로 발견된 뇌동맥류
- 운동장애를 동반한 재발군날개에서 자가윤부결막이식술 후안구운동진폭 변화
- 로봇을 이용한 겨드랑이경유 갑상선전절제술 후 발생한 의인성 호너증후군
- 건성안 증상을 가지는 환자들에서 각막 통각과민 환자의 임상양상
- 국내에서 상품화된 안검 온열 안대의 안검 가열 효과 비교
- 상공막 모세혈관종
- 국내 2형 당뇨병 환자에서 실명 위험 당뇨망막병증의 미래 치료 비용 연구
- 스테로이드유발녹내장에서 녹내장 수술적 치료의 위험인자
- 비강내 코중격 트리암시놀론 주사 후 발생한 눈동맥분지의 다발성 폐쇄 1예
- 비대칭 눈썹을 가진 노년 상안검 안검하수 환자에서 안검하수수술 후눈썹의 위치 변화
- 이전 이식편 후부각막실질 전체가 남은 상태에서 시행된 이차 데스메막박리내피각막이식술
- 건강검진 자료를 이용한 나이관련황반변성의 위험인자 분석
- 진행하는 군날개 유사 병변을 동반한 소아 색소건피증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