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Iatrogenic Horner’s Syndrome Developing after Robot-assisted Transaxillary Total Thyroidectomy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이승현(Seung Hyun Lee) 강성모(Sung Mo Kang)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62,number1, 132~136쪽, 전체 5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1.15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로봇을 이용한 겨드랑이경유 갑상선전절제술 후 발생한 의인성 호너증후군의 1예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31세 여자가 로봇을 이용한 겨드랑이경유 갑상선전절제술 직후 발생한 우안 눈꺼풀처짐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3주 전 우측 갑상선암으로 우측 겨드랑이경유 로봇 갑상선전절제술을 받았다. 눈꺼풀틈새는 정면주시에서 우안 5.0 mm, 좌안 8.0 mm였고 위눈꺼 풀테와 각막반사 사이의 거리(marginal reflex distance 1)는 우안 1.0 mm, 좌안 4.0 mm였다. 눈꺼풀올림근 기능은 양안 모두 정상이 었다. 어두운 조명에서 우안 2.5 mm, 좌안 4.0 mm로 동공부등을 보였다. 얼굴무한증은 호소하지 않았다. 우안에 0.5% Apraclonidine 한 방울 점안 30분 후, 우안 눈꺼풀틈새는 5.0 mm에서 8.0 mm로 증가했으며 어두운 조명에서 동공 크기 또한 2.5 mm에서 4.0 mm로 증가하였다.
결론: 로봇을 이용한 겨드랑이경유 갑상선전절제술에서도 호너증후군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사전 환자에게 발생 가능성에 대해 주지 시킬 필요가 있다.
<대한안과학회지 2021;62(1):132-136>
영문 초록
Purpose: We report a case of iatrogenic Horner’s syndrome developing after robot-assisted transaxillary total thyroidectomy.
Case summary: A 31-year-old female with right-eye ptosis was referred to our clinic. Three weeks prior, she had undergone robot-assisted total thyroidectomy via the right transaxillary approach to treat right-side thyroid cancer. On ocular examination, the palpebral fissure widths were 5.0 mm in the right lid and 8.0 mm in the left lid, the marginal reflex distances 1, 1.0 mm in the right lid and 4.0 mm in the left lid, and the levator muscle function of both eyes normal. In a dark room, the pupil diameter was 2.5 mm in the right eye and 4.0 mm in the left eye. She did not complain of facial anhidrosis. Thirty minutes after instillation of 0.5% (w/v) apraclonidine into the right eye, the right palpebral fissure width increased from 5.0 to 8.0 mm, and the pupil size from 2.5 to 4.0 mm in the dark.
Conclusions: Horner’s syndrome can develop after robot-assisted transaxillary total thyroidectomy; patients should be counselled in this regard.
J Korean Ophthalmol Soc 2021;62(1):132-136
목차
증례보고
고찰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비대칭 눈썹을 가진 노년 상안검 안검하수 환자에서 안검하수수술 후눈썹의 위치 변화
- 항진균제 다제 투여로 치료한 Pseudallescheria boydii 괴사성 공막염
- 국내 2형 당뇨병 환자에서 실명 위험 당뇨망막병증의 미래 치료 비용 연구
- 나이와 크기에 따른 콩다래끼 병소 내 스테로이드 국소주사의 치료 효과 비교
- 청색광에 의한 제브라피쉬의 안구 변화 및포도씨 유래 폴리페놀 화합물의 보호 효과
- 비강내 코중격 트리암시놀론 주사 후 발생한 눈동맥분지의 다발성 폐쇄 1예
- 진행하는 군날개 유사 병변을 동반한 소아 색소건피증
- 이전 이식편 후부각막실질 전체가 남은 상태에서 시행된 이차 데스메막박리내피각막이식술
- 스테로이드유발녹내장에서 녹내장 수술적 치료의 위험인자
- 거짓비늘증후군과 급성폐쇄각발작의 생체계측 특성 비교
- 건강검진 자료를 이용한 나이관련황반변성의 위험인자 분석
- 분자유전검사로 확진된 상염색체 우성 드루젠
- 운동장애를 동반한 재발군날개에서 자가윤부결막이식술 후안구운동진폭 변화
- 각막이식 실패를 초래하는 고위험군에 대한 조사
- 국내에서 상품화된 안검 온열 안대의 안검 가열 효과 비교
- 습성 나이관련황반변성 환자에서 유리체강내 항혈관내피성장인자항체 주사 치료 후 읽기 속도 변화
- 건성안 증상을 가지는 환자들에서 각막 통각과민 환자의 임상양상
- 압박시신경병증으로 발견된 뇌동맥류
- 로봇을 이용한 겨드랑이경유 갑상선전절제술 후 발생한 의인성 호너증후군
- 상공막 모세혈관종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역사학분야 NEW
- The Sage Transmits His Mandate”: A Study on the Concept of “Mandate” in Wang Anshi's Yijing Thought
- An Analysis of the Mechanism of College Students' “Involution” from the Perspective of Giddens' Modernity Theory
- A Study on the Coupling Coordination between Basic Public Services and New Quality Productive Forces in Chongqing and Their Influencing Factor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