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라인홀드 니버의 민주주의에 대한 소고
이용수 224
- 영문명
- A Study of Reinhold Niebuhr’s Thought on Democracy - The Identity of Democracy and The Role of Christianity
- 발행기관
-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 저자명
- 유경동(Kyoung-Dong Yoo)
- 간행물 정보
- 『신학사상』신학사상 190집(2020년 가을호), 153~182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9.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인류 사회가 염원하는 정의와 평등 그리고 평화를 성취하기 위하여 역사가 발전 중이라고 하면 ‘낭만주의’라는 소리를 듣게 될 것이다. 그렇다고 ‘권력의 의지’로 점철된 분쟁의 역사라는 어두운 면만 부각하자니 ‘비관주의자’가 될 것이고, 이 모든 것을 넘어서는 어떤 초월적 역사에 대한 희망을 품으면, 그는 ‘이상주의자’ 임에 틀림이 없다. 어떻게 보면 인류의 역사는 일종의 파노라마처럼 희망과 절망, 자유와 억압, 전쟁과 평화, 그리고 이성과 신앙 사이에 끊임없이 펼쳐지는 드라마와 같다고 할 수 있다.
서구 역사를 보면 민주주의도 이런 맥락에서 종교 개혁과 르네상스의 사조를 통하여 인간의 이성과 자유 그리고 무엇보다도 계급 간의 갈등을 극복하려고 한 현 인류 사회의 정치적 개념임에는 틀림이 없다. 1, 2차 세계 대전을 통하여 인류 사회의 참상을 경험한 국제 사회의 갈등에서 꽃을 피운 서구의 민주주의는 나름대로 정치적 이상과 현실 사이에서 자리매김을 하는 모양새다. 무엇보다도 삼권 분립을 통한 권력과 경제의 분배에 그 목표를 둔 민주주의는 비록 완전하지는 않지만, 자유를 신장하는 인권의 발전에 크게 공헌하였다고 본다. 그러나 민주주의 국가라는 서구 사회의 정치적 상황이 녹록지 않고, 인간 정신의 세계화가 아닌 상품의 세계화로 그 의미가 퇴색한 ‘세계화’의 틈 사이에 ‘국제 금융 자본’의 무차별적인 공격은 국제 사회를 보호 무역주의로 전환하게 하고 있고, 신 냉전 체제의 미국과 중국의 대결 양상은 전 세계를 군비 경쟁의 시장으로 몰아넣고 있다.
이와 같은 정치적인 사안을 염두에 두고 이 논문은 라인홀드 니버(Reinhold Niebuhr)가 성찰한 민주주의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라인홀드 니버는 정치적 현실주의의 학문적 맥락에서 민주주의 안에 작동하는 권력의 속성을 깊이 분석하고 민주주의의 한계와 가능성을 검토하였으며, 아울러 기독교의 역할에 대하여 분명한 견해를 밝히고 있었다. 특히 기독교 정치 윤리의 관점에서 니버가 제시한 예언자적인 성찰은 민주주의 이면에 있는 허구와 실상을 낱낱이 파헤치고, 기독교가 취하여야 할 공공 영역에서의 사명에 대하여 그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여 준다고 본다.
영문 초록
A person will be regarded as ‘romanticist,’ if that person claims history is developing to achieve justice, equality, and peace for which human society so craves. However, if the person stresses the dark facet of the history of conflict, bruised with the ‘will for power,’ he will be labelled a ‘pessimist,’ while a person hopes for transcendent work in history, he will be regarded as an ‘idealist.’ In a sense, history can be regarded as a panoramic drama of hope and despair, freedom and suppression, and reason and faith.
With such international political issues in mind, this paper will examine the democracy contemplated by Reinhold Niebuhr. Reinhold Niebuhr deeply analyzed the attributes of power working in democracy in the academic context of political realism and gives a clear opinion on the role of Christianity. The prophetic reflection, from the perspective of Christian political ethics by Niebuhr, will expose fiction and facts existing in the background of democracy, and propose direction in which Christianity must take in the public domain.
목차
Ⅰ. 서론
Ⅱ. 라인홀드 니버의 민주주의 개념
Ⅲ. 민주주의와 정치 윤리의 한계
Ⅳ. 라인홀드 니버의 민주주의와 기독교 정치 윤리의 한계
Ⅴ. 민주주의와 기독교의 역할
Ⅵ. 민주주의의 미래
Ⅵ.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타자를 향한 교회
- A Study on Schleiermacher’s Understanding of the Trinity
- 민중신학에서의 민중 용어의 작용에 대한 연구
- 키에르케고어와 리쾨르의 ‘미학적 자기됨’ 연구
- 문익환의 민주화·통일 실천의 변증법적 성찰
- 니케아 신경은 종교 권력의 지배 이념인가?
- 한국 교회 변혁을 위한 그리스도인의 신앙적 주체성 확립의 의의와 그 적용성
- 복음이 과학과 만날 때
- 라인홀드 니버의 민주주의에 대한 소고
- 한국에서 세계 기독교 연구
- 디아코니아학의 도움으로 “해방신학 유효하게 만들기”
- 인구 절벽 시대, 교회의 베이비부머에 대한 재이해
- 구약성서의 구성과 그 신학적 의의
- 성 소수자 혐오의 혐오성에 대한 기독교윤리학의 비판적 논증
- 비접촉 시대에 예수님과 접촉하기
- 『성교요지』(聖敎要旨)의 원본 마틴 선교사의 『쌍천자문』(雙千字文)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 영재고를 졸업한 대학생의 내러티브 정체성에 관한 연구
- 학령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상호작용 발달 놀이치료(IDP) 사례연구
- 죽음불안에 관한 분석심리학과 실존신학의 연구: 분석심리학자 칼 융과 실존신학자 폴 틸리히를 중심으로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NEW
- 율법과 복음의 관계 - 루터와 칼빈과 ‘바울에 관한 새 관점’의 입장 비교를 통한 연구
- 개인구원을 넘어 사회적 칭의론을 향하여 - 구원론의 지평 확대
- 코메니우스의 구원론 - 믿음, 소망, 사랑과 이신칭의와의 관계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