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민중신학에서의 민중 용어의 작용에 대한 연구
이용수 126
- 영문명
-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Term Minjung in Korean Minjung Theology
- 발행기관
-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 저자명
- 황용연(Yong-Yeon Hwang)
- 간행물 정보
- 『신학사상』신학사상 190집(2020년 가을호), 423~454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9.30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은 한국 민중신학 담론에서 민중이라는 용어가 어떻게 작용하고 있는지를 다룬다. 민중이라는 용어는 민중신학자들이 이론이나 개념보다는 증언에 주력하도록 이끌었다. 또한 민중신학의 구원론인 민중메시아론에서 민중이라는 용어는 민중 현실이 형성하는 장(場)이 그 장속에 끌려들어 온 사람들에게 미치는 작용으로 구원을 이해할 수 있도록 이끌었다. ‘두 이야기의 합류’의 경우에서 보듯이 민중신학은 한국 민주화 운동의 지지 담론의 역할을 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새로운 장의작용이 감지될 때 기존의 담론을 해체하는 경향을 갖게 되었다.
최근 민중신학은 초기 민중신학의 오클로스론과 바울의 칭의론 관련 논의를 재해석하면서 민주화 이후 체제에서 시민이 주도하여 체제의 자기 정당성에 대한 확신을 더욱 강화함으로써 발생하는 배제를 탐색하는 경향을 발전시켰다. 이런 경향은 체제에서 배제당하는 비시민이 자신들을 표현할 언어 부재를 경험하고 있음을 인식한다. 따라서 앞으로 민중용어를 이해하는 전망도 민중 현실의 장과 그 속에 끌려들어 온 사람들 사이에 명시적인 언어로 재현되지 않는 작용을 탐색해야 할 필요성 위에 구축되어야 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s how the term Minjung works in the discourse of Korean Minjung theology. The term helped Minjung theologians focus on witnesses rather than theories and concepts. In terms of Minjung Messiah, soteriology of Minjung theology, the term Minjung opened the possibility to understand salvation as the effects in the “field” constructed by Minjung reality. As seen in the “confluence of two stories”, while Minjung theology has the tendency to serve as a discourse supporting the Korean democratization movement, it also deconstructs existing discourses when new interactions between Minjung reality and people are detected.
Recent Minjung Theologians reinterpreted the theory on Ochlos and the discussions about Paul’s statement of justification in early Minjung Theology, and developed a tendency to explore the exclusion of non-citizens by Korean post-democratization regime in which citizens take the initiative and have more confidence about their own legitimacy. This tendency recognizes that non-citizens who are excluded from the regime are experiencing lack of language to represent themselves. Therefore, the prospect of understanding the term Minjung should be constructed on the necessity of exploring the interactions between Minjung reality and people attracted into the “field” constructed by the reality, which are not explicitly represented in language.
목차
Ⅰ. 서론
Ⅱ. 해방 후 남한 지성사에서의 민중 용어의 의미
Ⅲ. 초기 민중신학에서의 민중 용어의 작용
Ⅳ. 두 이야기의 합류 개념에서 살펴 보는 민중 용어 작용의 총체적 양상
Ⅴ. 최근 민중신학에서의 민중 용어의 작용
Ⅵ.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타자를 향한 교회
- A Study on Schleiermacher’s Understanding of the Trinity
- 민중신학에서의 민중 용어의 작용에 대한 연구
- 키에르케고어와 리쾨르의 ‘미학적 자기됨’ 연구
- 문익환의 민주화·통일 실천의 변증법적 성찰
- 니케아 신경은 종교 권력의 지배 이념인가?
- 한국 교회 변혁을 위한 그리스도인의 신앙적 주체성 확립의 의의와 그 적용성
- 복음이 과학과 만날 때
- 라인홀드 니버의 민주주의에 대한 소고
- 한국에서 세계 기독교 연구
- 디아코니아학의 도움으로 “해방신학 유효하게 만들기”
- 인구 절벽 시대, 교회의 베이비부머에 대한 재이해
- 구약성서의 구성과 그 신학적 의의
- 성 소수자 혐오의 혐오성에 대한 기독교윤리학의 비판적 논증
- 비접촉 시대에 예수님과 접촉하기
- 『성교요지』(聖敎要旨)의 원본 마틴 선교사의 『쌍천자문』(雙千字文)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 영재고를 졸업한 대학생의 내러티브 정체성에 관한 연구
- 학령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상호작용 발달 놀이치료(IDP) 사례연구
- 죽음불안에 관한 분석심리학과 실존신학의 연구: 분석심리학자 칼 융과 실존신학자 폴 틸리히를 중심으로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NEW
- 율법과 복음의 관계 - 루터와 칼빈과 ‘바울에 관한 새 관점’의 입장 비교를 통한 연구
- 개인구원을 넘어 사회적 칭의론을 향하여 - 구원론의 지평 확대
- 코메니우스의 구원론 - 믿음, 소망, 사랑과 이신칭의와의 관계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