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에서 세계 기독교 연구
이용수 177
- 영문명
- Studies on World Christianity in Korea: Its Acceptance/Characteristics and Its Problems/Future Directions
- 발행기관
-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 저자명
- 고훈(Hoon Ko)
- 간행물 정보
- 『신학사상』신학사상 190집(2020년 가을호), 455~487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9.30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한국에서 세계 기독교 연구의 수용과 특징 그리고 그 한계와 향후 과제를 논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은 다음의 연구 절차를 따른다. 첫째, 2장은 세계 기독교와 관련하여 여러 학자들이 있지만 한국인 학자들에게 영향력을 많이 끼친 영국 에든버러 대학교의 앤드류월스(Andrew F. Walls), 데이비드 커(David A. Kerr), 잭 톰슨(T. Jack Thompson), 그리고 브라이언 스탠리(Brian Stanley)와 미국 보스턴 대학교(Boston University)의 데이나 로버트(Dana L. Robert)를 중심으로 각각 그들의 연구가 무엇이며, 어떻게 그들의 연구가 한국인 연구자들에게 반영되었는지 연구하고자 한다. 그리고 그러한 한국인 연구자들의 공통된 연구 특징과 문제점이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한다. 둘째, 3장은 앞으로 한국에서 세계 기독교 연구의 향후 과제에 대하여 논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공헌은 세계 기독교가 한국에 수용된 지 20여 년이 되고 있는 시점에서 그에 대한 연구를 되돌아보는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rganize the acceptance and characteristics of studies on World Christianity in Korea and to discuss its problems and developmental potential. To achieve this, I will follow these procedures: First, section two explores Andrew F. Walls’ (University of Edinburgh), David A. Kerr’s, T. Jack Thompson’s, Brian Stanley’s and Dana L. Robert’s (Boston University) core ideas, representative figures of World Christianity and how their work each was reflected by their Korean followers. Moreover, I will examine what the problems of studies of World Christianity thus far are. Second, section three discusses how studies on World Christianity can be developed in Korea in order to overcome the problems. The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to reflect on the past 20 years of studies on World Christianity in Korea and to give some ideas for continually developing the studies in the future.
목차
Ⅰ. 머리말
Ⅱ. 한국에서 세계 기독교 연구의 수용, 특징, 그리고
문제점
Ⅲ. 앞으로 한국에서 세계 기독교 연구의 향후 과제
Ⅳ.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타자를 향한 교회
- A Study on Schleiermacher’s Understanding of the Trinity
- 민중신학에서의 민중 용어의 작용에 대한 연구
- 키에르케고어와 리쾨르의 ‘미학적 자기됨’ 연구
- 문익환의 민주화·통일 실천의 변증법적 성찰
- 니케아 신경은 종교 권력의 지배 이념인가?
- 한국 교회 변혁을 위한 그리스도인의 신앙적 주체성 확립의 의의와 그 적용성
- 복음이 과학과 만날 때
- 라인홀드 니버의 민주주의에 대한 소고
- 한국에서 세계 기독교 연구
- 디아코니아학의 도움으로 “해방신학 유효하게 만들기”
- 인구 절벽 시대, 교회의 베이비부머에 대한 재이해
- 구약성서의 구성과 그 신학적 의의
- 성 소수자 혐오의 혐오성에 대한 기독교윤리학의 비판적 논증
- 비접촉 시대에 예수님과 접촉하기
- 『성교요지』(聖敎要旨)의 원본 마틴 선교사의 『쌍천자문』(雙千字文)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 영재고를 졸업한 대학생의 내러티브 정체성에 관한 연구
- 학령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상호작용 발달 놀이치료(IDP) 사례연구
- 죽음불안에 관한 분석심리학과 실존신학의 연구: 분석심리학자 칼 융과 실존신학자 폴 틸리히를 중심으로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NEW
- 율법과 복음의 관계 - 루터와 칼빈과 ‘바울에 관한 새 관점’의 입장 비교를 통한 연구
- 개인구원을 넘어 사회적 칭의론을 향하여 - 구원론의 지평 확대
- 코메니우스의 구원론 - 믿음, 소망, 사랑과 이신칭의와의 관계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